|
김 전 의원은 “통의동 비서진은 상당수가 잔류하고 일부 핵심기능만 갖고 가는 거다. 그건 정상적인 대통령실이라고 할 수가 없다”고 지적했다. 억지로 10일 입주를 해도 일부만 이동한다면 제대로 된 업무 기능이 되겠느냐는 것이다.
김 전 의원은 국무회의에서 예비비 360억원이 의결돼 청와대 지하벙커에 있는 위기관리센터 기능과 청와대 경호원실 경호상황실을 이전하는 데 쓰이겠지만 단순 비용 문제가 아니라는 점도 지적했다.
그는 “문제는 이게 비용의 문제냐, 돈이 있다고 해서 다 해결되는 문제냐, 인수위는 플러그만 꽂으면 된다, 이렇게 이야기하고 있는데 이 점이 바로 전문가들의 이야기하고 가장 극명하게 대립되는 지점”이라고 설명했다.
김 전 의원은 “청와대에 있는 경호처와 위기관리센터의 고가장비나 첨단시스템은 다 무력화되는 거다. 옮기는 게 아니라 새로 짓는 개념이라는 걸 아셔야 될 것 같고, 그 다음에 옮긴다고 해도 망으로 연결되는 건 바로 가능하지만 망끼리 충돌하지 않고 상황실 전체가 정상적으로 가동하려면 또 다른 설계비용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또 “이걸 청와대에서 수십 년에 걸쳐서 진화시켜온 거다. 그런데 국방부 벙커로 가서 그 기능을 발휘한다면 상황실에 맞는 공간배치와 시스템 오브 시스템, 그 시스템을 통제하는 또 다른 시스템, 이런 것을 만들어서 상황실 자체를 재구성하는 것이 이제 우리가 아는 위기관리센터”라며 “인수위가 얘기하는 위기관리센터는 그게 아니고 각각의 기능 부분에만 시선을 돌려서 재난안전망 소방방재 여러 가지 재난안전망을 연결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이 군사망 외교망 여러 가지 국가지도 통신 이런 것들과 다 같이 한꺼번에 정상화 된다는 얘기는 아니고 각각 부분 부분이 연결된다는 이런 것”이라고도 말했다. 기존 위기관리센터 기능 통합을 위해서는 설치와 관리에 상당한 시간이 든다는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