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도에 따르면 친트럼프 성향인 매조리 테일러 그린 공화당 하원의원(조지아)은 지난 8일과 9일 1천달러에서 1만5천달러 사이 주식거래 21건을 의회에 보고했다.
이틀 동안 그린 의원은 2만 달러에서 31만달러 사이 주식을 매수했는데, 아마존, 테슬라, 애플, 엔비디아, 퀄컴 등 이번 관세 사태로 등락을 반복한 미국 주요 기술주들이 포함됐다.
매수가 이뤄진 8일과 9일은 트럼프가 90일 관세유예를 전격 발표하기 전날과 당일로, 전날인 8일에는 거래 금액이 최대 16만달러로 추산된다.
트럼프는 높은 수준의 상호관세로 주식시장이 급락하는 와중에도 “정책 변경은 없다”고 못박았다가 갑작스레 90일 유예를 발표한 바 있다. 트럼프 발표에 시장이 바로 반등해 하락 이후 주식을 매수한 이들은 큰 이익을 볼 수 있는 상황이었다. 트럼프 자신이 발표 전 “지금은 매수 적기”라며 “침착하라, 모든 것이 잘될 것”이라는 글을 올리기도 했다.
이같은 상황 때문에 트럼프가 자신의 발언이 미치는 시장 영향력을 이용해 사실상의 주가 조작 행위를 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까지 나오고 있고, 트럼프 측 인사 여럿이 이같은 의혹 중심에 서고 있다.
민주당 의원들은 지난 11일 트럼프 대통령의 ‘90일 유예’ 발표 전 트럼프 측 인사들이 이른바 ‘내부자 거래’를 했는지 조사해줄 것을 당국에 촉구하기도 했다. 또 일부 의원들은 트럼프를 “시장 조작 혐의”로 조사해야한다는 입장이다.
척 슈머 민주당 상원 원내대표를 포함해 엘리자베스 워렌, 애덤 쉬프 상원의원 등은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서한을 보내 트럼프와 트럼프 행정부 인사들이 관세유예 결정으로 시장 조작 등 법률 위반 행위를 하지 않았는지 조사해줄 것을 요구하는 서한을 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