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 제자리걸음 대전역세권 개발사업, 이번엔 성공할까?

박진환 기자I 2023.05.29 14:08:54

도심융합특구·민간자본 개발사업 등 양대축으로 복합 추진
대전역·옛 충남도청사 일원 도심융합특구 사업지구로 지정
대전형판교 조성 목표…특별법 제정 늦어지면서 사업 지연
민자개발사업은 코레일·한화컨소시엄 주도 빠르게 진행 중

대전역세권(서광장) 민자개발사업 조감도. (사진=대전시 제공)


[대전=이데일리 박진환 기자] 지난 20여년간 제자리걸음만 걷던 대전역세권 개발사업이 최근 다시 주목받고 있다. 이장우 대전시장과 박희조 대전 동구청장이 공조해 대전의 상징인 대전역을 지역의 랜드마크인 동시에 상업·주거·문화 기능을 접목, 원도심 활성화의 중심지로 만들겠다는 구상을 밝혔기 때문이다. 그러나 천문학적인 사업비와 함께 관련법 제정, 정부 지원 등 사업추진에 적지 않은 걸림돌이 남아 있어 성공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한국철도공사(코레일), 대전시, 대전 동구 등에 따르면 대전역세권 개발사업은 정부 주도의 도심융합특구와 함께 민간자본의 개발사업 등 크게 2가지 형태로 복합 추진된다. 우선 도심융합특구는 2021년 국토교통부가 대전역 일원 103만㎡(역세권 구역)와 옛 충남도청사 일원 21만㎡(선화구역)를 도심융합특구 사업지구로 지정하면서 시작됐다. 도심융합특구는 개발과 기업지원을 집적시켜 산업과 주거, 문화 등 우수한 복합 인프라를 갖춘 고밀도 혁신공간을 조성한다는 것이 주요 골자이다.

‘대전형 판교’로 불리는 이 사업은 2031년까지 국비 2680억원과 시비 4690억원, 민간자본 등 모두 1조 5920억원이 투입된다. 서민호 국토연구원 연구위원은 지난 18일 도심융합특구 토론회에서 “도심융합특구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거버넌스까지 결합된 패키지 사업으로 일터와 놀이터, 배움터가 결합돼 ‘직주락(직장·주거·樂)’을 표방한다”며 “특구의 기술이 지자체, 민간사업과 연계되는 것이 주안점이며, 지역 인재들이 떠나지 않고 이곳에서 일하고 쉬게끔 하는 것이 목표”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도심융합특구 조성의 법적 근거가 되는 특별법 제정이 지연되면서 후속 절차에 속도가 나지 않고 있다. 당초 지난해 10월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됐던 기본구상 및 핵심사업 추진방안 마련 등을 위한 대전도심융합특구 기본계획 수립 용역은 일시 정지된 상태다. 도심융합특구 관련 특별법 제정 지연은 대전 역세권 재정비촉진지구 내 존치관리구역(26만㎡) 개발 방안 마련을 더디게 하는 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 지난해 4월부터 ‘대전역세권 개발 종합기본계획 수립 용역’이 시작됐지만 도심융합특구 등 개발과 연계된 계획 수립 필요성 때문에 용역이 일시 정지됐다. 여기에 2차 수도권 공공기관 이전에 대한 정부 방침이 구체화 되지 않으면서 혁신도시 조성 역시 후속 절차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반면 대전역세권 복합2구역 민자개발사업은 코레일과 한화건설 컨소시엄 주도로 빠르게 진행 중이다. 2029년까지 9000여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대전역 주변의 낙후된 지역을 새로운 복합도시로 개발한다는 이 사업은 대전역세권 재정비촉진지구 92만여㎡ 중 대전역 인근에 위치한 상업지역 부지 3만㎡를 민간투자를 통해 개발하는 총사업비 9000억원의 대규모 개발 사업이다. 2020년 한화건설과 계룡건설산업, 한화역사, 하나금융투자, 하나은행 등이 참여해 만든 한화건설 컨소시엄은 코레일과 민간산업 실시 협약을 체결했으며, 올해 하반기까지 교육환경 지하안전 영향성 구조안건 심의 등 사업시행을 위한 인가 절차를 이행한 뒤 내년 상반기 착공할 예정이다. 대전역세권 복합2구역 개발사업은 소통형 커뮤니티 광장, 원도심 재생을 주도할 초고층 랜드마크 주거타워 조성, 국제회의·관광수요를 고려한 프리미엄 비즈니스 호텔, 문화거점 조성을 위한 뮤지엄, 컨벤션센터 등 복합문화시설과 함께 상생협력 판매시설 등을 조성할 계획이다. 이에 대해 장일순 대전시 도시주택국장은 “대전역세권 개발사업은 사업비 조달을 위한 대안으로 공공기관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방안을 모색 중이며, 대전도심융합특구는 타 지역보다 빠르게 추진되고 있다”며 “국가 균형발전 차원에서 중부권의 핵심시설로 주목받고 있으며, 국가기본계획에도 반영, 기반시설 조성 등 올해 하반기부터 가시적인 성과가 나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