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베센트 "중국, 美국채 매각 징후 없어…최선의 이익도 아냐"

양지윤 기자I 2025.04.16 06:40:49

중국 콕 집어내지 않고 ''외국''으로 지칭
"부부싸움 후 집 불태우면 도움 안 돼"
"中 위안화 약세 정책, 美국채 무기화 의미 없어"

[이데일리 양지윤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및 무역 협상을 이끌고 있는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이 최근 국채 투매 현상의 배후에 중국이 있다는 주장을 거듭 일축했다. 중국이 막대한 미 국채 보유고를 활용해 미국 경제에 타격을 줄 가능성 역시 없다고 선을 그었다.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베센트 장관은 15일(현지시간) 야후 파이낸스와 단독 인터뷰에서 “외국의 경쟁국이 미 국채 시장을 정치적 목적으로 불안정하게 만들려 한다고 판단한다면, 우리는 분명히 협력해 대응할 것이지만, 아직 그런 징후는 보지 못했다”며 미 국채 매각은 중국 경제에도 최선의 이익이 아니라고 강조했다. 그가 지칭한 ‘외국’은 중국을 가리키는 것으로, 그는 “그들을 적대국이라고 부르지 않겠다”며 중국을 지나치게 자극하지 않으려는 모습을 보였다.

베센트 장관은 미 국채 매각은 중국 입장에서도 실익이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부부 싸움에 비유해 “배우자와 다투면 집을 불태울 수 있지만, 별로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며 “그들이 국채를 팔기 시작하면, 가격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베센트 장관은 “중국이 국채를 팔면 위안화를 사야 하고, 그 결과 위안화가 강세를 보일 것이지만, 그들은 그 반대의 행동을 해왔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들은 위안화 약세 정책을 펼치고 있기 때문에 국채를 무기로 사용하는 것은 그들에게 아무런 의미가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전날 블룸버그 TV와 인터뷰에서도 중국의 미 국채 대규모 매도와 관련해 증거가 없다면서 최근 장기물 국채 가격 급락은 주로 시장 내부의 디레버리징 결과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채권시장 혼란에 대해 대응이 필요할 경우 바이백(조기상환)과 같은 수단을 통해 시장을 안정시킬 수 있다”고 부연했다.

한편 시장에서는 중국이 미국과 무역갈등이 심화한 이후 최근 몇 년 동안 미 국채 보유량을 꾸준히 줄여왔던 점에 주목하고 있다. 일각에선 중국이 관세 보복 차원에서 미 국채를 내다 팔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중국의 미국 국채 보유량은 지난 2월 기준 약 7590억달러 규모로 2009년 이후 최저 수준이다. 중국은 비공식적으로도 해외 다른 국가 계좌를 통해 미 국채를 다량 보유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처분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