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비자물가지수가 1%대 상승폭을 나타낸 것은 지난해 9월 이후 5개월만이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작황 부진에 따른 공급 감소, 조류인플루엔자(AI) 피해가 계속됐고 명절 수요 증가가 더해 채소·과실·축산물 가격이 비교적으로 크게 올랐다”며 “최근 국제유가 상승 추세에 따라 석유류 가격 하락폭이 둔화됐다”고 분석했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나타내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는 0.8%로 여전히 1%대 미만 상승에 머물렀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지수는 0.3% 올라 지난해 10월(-0.3%) 이후 최저 상승폭을 나타냈다.
가격 변동을 민감하게 느끼는 품목으로 구성해 체감물가로도 불리는 생활물가지수는 1.2% 올라 지난해 3월(1.8%) 이후 상승폭이 가장 높았다.
신선식품지수는 18.9% 올라 지난해 9월(21.5%) 이후 가장 많이 상승했다. 신선과실이 20.5% 뛰었고 신선어개(생선·해산물)는 3.6%, 신선채소 3.0% 각각 올랐다. 자가주거비포함지수는 1.1% 올랐다.
|
공업제품은 0.7% 내려 4개월 0%대 하락세를 이어갔다. 집세는 전세가 1.2%, 월세 0.5% 각각 상승하며 0.9% 올랐다. 이는 2018년 8월(1.2%) 이후 최고치다. 공공서비스는 2.1% 하락한 반면 외식 등 개인서비스는 1.6% 올랐다.
주요 품목별로 보면 농축수산물 중 파가 227.5% 급등했고 사과(55.2%), 달걀(41.7%), 고춧가루(35.0%), 돼지고기(18.0%), 쌀(12.9%), 국산쇠고기(11.2%) 등이 크게 올랐다. 배추(-17.0%), 무(-16.7%), 당근(-14.1%), 전복(-7.7%) 등은 내렸다.
공업제품 중 구두는 7.1% 올랐고 등유(-8.5%), 경유(-8.1%), 휘발유(-5.5%) 등은 하락했다. 도시가스(-10.1%), 지역난방비(-2.6%), 전기료(-2.1%) 등도 내렸다.
서비스 중 국제항공료(10.4%), 보험서비스료(8.1%) 등은 오른 반면 고등학교납입금(-93.3%), 학교급식비(-51.3%), 애완동물관리비(-5.5%) 등은 하락했다.
3월 물가는 상하방 요인이 혼재했다는 판단이다. 국제유가가 상승 추세를 보이면서 석유류 가격 하락세가 둔화하거나 오름세로 전환할 수 있는 반면 무상교육 등 정부 정책의 물가 하락 효과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시작하는 등 앞으로 경제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수요 측면 물가 상승 압력은 지속될 전망이다. 최근 국제 곡물이나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면서 인플레이션 우려도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어 심의관은 이에 대해 “공급·수요 측면에서 물가 상승 요인이 있어 상승세가 지속될 것이라는 예측은 가능하다”면서도 “완만한 물가 상승을 넘어서는 인플레이션이 있을 것이라고 단정하기는 굉장히 어렵고 물가 당국 노력도 있어 그렇게 우려할 상황이라고 보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