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이번 옛새우 발견이 우리나라 하천에 다양한 무척추동물이 서식한다는 점을 나타낸 것이라며 그 의미를 부여했다. 다슬기, 가재, 새우, 하루살이 등 담수 무척추동물은 환경 변화에 따라 민감한 반응을 보여 수질오염을 측정하는 지표종으로 사용된다.
환경부는 한강수계에서 6종, 낙동강 수계에서 5종, 금강·임진강·강릉 임곡천에서 각각 1종씩 총 14종이 발견됐다고 밝혔다. 옛새우는 일반적으로 새우라고 알려진 갑각류 중 기원이 가장 오래된 무리로 지하수 또는 지하수가 스며드는 우물 등지에 서식한다. 크기는 0.5~2mm로 맨눈으로 보기 힘들며 전세계 약 300종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우리나라에서 옛새우가 최초로 발견된 것은 1970년 일본 학자 모리모토가 영원의 동굴에서 보고한 ‘알로바티넬라 코리아나’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새로 발견된 옛새우 14종의 정보를 담은 논문을 세계적 학술지인 ‘저널 오브 스페시스 리서치(Journal of Species Research)’ 3월호에 게재했다.
낙동강생물자원관 연구진은 우리나라 수계에 아직 밝혀지지 않은 담수 무척추동물이 2000여 종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국내 하천 무척추동물 공동조사’를 2020년까지 추진하는 한편 담수 무척추동물에 관한 전문 연구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