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다시 유행하고 있는 2분기, 코로나19로 인한 실직 위험과 급여 감소 등 여파는 비정규직, 프리랜서, 5인 미만 사업장 등 노동시장 내 약자들에게 더욱 매서웠다. 이들은 고용보험 제도로도 보호받기 어려운 만큼 ‘재난실업수당’ 등 다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제언도 나온다.
|
소득 감소 여파도 비정규직을 포함, 일터의 약자들에게 더욱 컸다. ‘소득이 줄었다’는 응답 비율은 28.4%인데, 비정규직은 50.5%로 정규직(13.7%)보다 4배나 높았다. 소득 감소를 경험한 이들 역시 월 150만원 미만(50.9%)과 5인 미만 사업장(40.5%) 등 저소득, 소규모 일터에서 일하는 노동자들로 집중됐다.
코로나19에 걸리더라도 비정규직은 마음 편히 쉴 수 없었다. 1번이라도 코로나19에 걸렸던 353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로 인한 격리 기간 휴가 여부를 묻자 유급 휴가를 쓰거나, 쉴 수 있었다고 응답한 정규직은 45%로, 비정규직(19.3%)에 비해 3배나 높았다. 반대로 무급 휴가를 쓴 비율은 비정규직이 37.4%로 정규직(11.7%)보다 3배 높았다. 비정규직의 경우 소득이 줄어들 수밖에 없었던 셈이다.
|
직장갑질119는 코로나19 등 위기가 닥쳐도 노동 시장 내 비정규직 등 약자들이 제대로 보호받지 못하는 상황을 해결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대기업, 공공기관, 정규직 등은 유급 휴가 등으로 보상이 가능했지만, 특수고용과 간접고용 등 비정규직, 프리랜서, 5인 미만 사업장 노동자 등은 고용보험의 사각지대에서 제대로 보호받지 못했기 때문이다.
권두섭 직장갑질119 대표 변호사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실직, 소득 감소 등 위험은 고용보험 밖의 약자들에게 집중되고 있다”라며 “정부가 최저임금의 70%를 6개월간 지급하는 재난실업수당 등을 신설, 보호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