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조지아주(州) 브라이언 켐프 주지사가 조 바이든 대통령에게 국제무역위원회(ITC)의 SK이노베이션(096770) 배터리 수입금지 조처를 뒤집어달라고 재차 요청했다. 조지아 주민 수천명의 생계가 달려있다는 게 이번 서한의 요지다.
미국 조지아 주정부는 12일(현지시간) 켐프 주지사가 수천 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수 있다며 바이든 대통령에게 보낸 서한 내용을 공개했다. 켐프 주지사는 한달 전인 지난달 12일 ITC 결정 직후에도 성명을 내고 번복 결정을 요청한 바 있다.
|
그러면서 SK의 공장은 “미국 내 주요 전기차 배터리 공장 가운데 연방정부 보조금을 받지 않고 건설된 유일한 공장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SK가 2025년까지 공장을 확장해 고용원을 6000여명으로 늘리고 배터리 생산량도 연간 생산량도 50GWh(기가와트시) 규모로 늘릴 계획이라고 소개하면서 “조지아주 공장이 경제적으로 존속할 수 없게 만들 ITC 결정을 대통령이 번복하지 않으면 공장을 닫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 SK의 설명”이라고 전했다.
또 “SK의 공장이 ‘미국 자동차산업을 전기차 중심으로 전환하고 지역 노동자에게 고소득의 좋은 일자리를 제공하게 하겠다’는 바이든 대통령의 목표에 정확히 부합한다”고도 주장했다.
기자 Pick
켐프 주지사는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이 2013년 ITC 결정을 뒤집은 적 있다고 사례도 제시했다. 당시 오바마 전 대통령은 삼성전자의 특허를 침해한 애플 제품의 수입을 금지하는 ITC 결정을 뒤집은 바 있다.
그는 “조지아인 수천 명의 생계가 당신의 손에 달렸다”라면서 “당신의 결정에 어떤 식으로든 도울 준비가 돼 있음을 알아달라”고 밝혔다.
앞서 ITC는 지난달 10일 SK가 LG에너지솔루션(전 LG화학 배터리 사업부문) 배터리 영업비밀을 침해했다며 SK 측에 일부 리튬이온배터리 수입을 10년간 금지하는 명령을 내렸다. 다만 포드와 폭스바겐의 미국 내 생산용 배터리와 부품에 대해서는 일정 기간 수입을 허용하는 유예 조처도 함께 결정했다.
LG는 2025년까지 미국에 독자적으로 2곳 이상의 배터리 생산공장을 지어 5조원 이상을 투자한다고 12일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이 ITC 결정을 번복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도 LG가 대규모 투자계획을 밝힌 배경 중 하나로 꼽힌다.
SK이노베이션은 지난해 6월 미국 조지아 주정부와 전기차 배터리 2공장 설립을 위한 투자 협약을 체결하고 2023년 완공을 목표로 새 공장을 건설 중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