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방대한 지식 정보를 생성해 레포트까지 쓸 수 있는 ChatGPT(챗GPT)의 글로벌 일사용자수가 1,000만 명을 돌파한 가운데, 세계에서 가장 권위있는 과학 학술지인 네이처와 사이언스가 챗GPT 같은 인공지능을 논문 공동저자로 인정하지 않기로 공식 선언했다. 하지만, 챗GPT의 저자 자격과는 별개로 놀라운 지식 생성 기능은 국내 IT 기업들을 긴장시켜 정부 역시 대규모 AI 기술 개발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네이처는 지난 24일 게재한 ‘챗GPT 같은 도구가 과학의 투명성을 위협한다’는 제목의 사설을 통해 △챗GPT를 연구 논문 저자로 인정하지 않고 △인공지능(AI)도구를 사용한 경우 논문 속의 ‘연구 방법’ 또는 ‘감사의 글’ 항목 등에 그 내용을 기록해야 한다는 원칙을 밝혔다. 사이언스도 지난 26일 게재한 ‘챗GPT는 재밌지만 저자는 아니다’라는 제목의 사설을 통해, 편집 지침에 인공지능 도구는 저자가 될 수 없다는 내용을 추가한다고 밝혔다. 사이언스는 챗GPT 같은 AI 도구를 이용해 생성한 문서, 그림, 이미지, 그래픽은 논문에 사용할 수 없다고까지 했다. 이들이 엄격한 저자 기준을 제시한 것은 ‘인공지능은 인간 저자와 달리 연구 결과를 책임질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IT 기업들은 챗GPT의 기술 수준이 현재의 인터넷 검색을 위협할 정도이고, 디지털 전환 과정에서 기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유용한 도구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MS)가 챗GPT 개발사인 오픈AI에 수십억~100억 달러(약 12조3500억원)를 투자하기로 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정부 역시 챗GPT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얼마 전 다보스포럼에서 글로벌 기업 CEO들과 만나 챗GPT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 뒤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앞으로 정책 중 과학기술 정책을 최우선 순위에 둬야 한다”고 강조했으며, 같은 맥락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제2차 국가데이터정책위원회서도 ‘전국민의 AI 일상화’ 프로젝트에 나서기로 했다. 이를 위해 올해 7129억 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구체적으로는 △‘독거노인 AI돌봄로봇 지원’, ‘소상공인 AI 로봇·콜센터 도입’, ‘공공병원 의료 AI 적용’ 등 대국민 프로젝트와 함께△제조·콘텐츠 등 10대 분야를 중심으로 수요기업이 필요한 AI 제품·서비스를 개발·적용(150개 과제, 400억원)하고 지역특화산업 생산성 향상을 위한 AI 융합 사업을 추진한다.
특히 △2805억원을 투입해 신규 8대 분야 학습용데이터 구축·개방하고 초거대AI 모델 및 그래픽처리장치(GPU) 컴퓨팅 자원 등을 통해 AI기업 성장을 뒷받침하고 △AI 기술 한계를 극복하는 차세대AI(2655억원)와 공공·산업 난제 해결을 위한 AI를 개발(445억원)하고, 신경망처리장치(NPU)·차세대메모리반도체(PIM)·첨단패키징(668억원) 등 AI 반도체 초격차 기술 확보에도 나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