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9일은 남북간 9.19 군사합의서 체결 1주년이 되는 날이지만, 그간 북미간 비핵화 협상이 교착 상태에 놓임에 따라 남북간 합의 사항 이행도 차질을 빚고 있다. 작년 말까지는 합의 이행이 원활한듯 보였지만, 올해들어선 사실상 진척이 없는 상태다. 올해 남북 군사당국 간 대면 접촉은 지난 1월 30일 판문점에서 남북 공동수로조사 결과를 토대로 제작한 한강하구 해도 전달 때가 전부다.
|
남북은 작년까지 9.19 군사합의를 비교적 충실히 이행해 왔다. 감시초소(GP) 시범철수를 비롯해 육·해·공 적대행위 중지, 공동경비구역(JSA) 비무장화 등은 모두 기한 내 이행됐다. 또 중부전선에 공동유해 발굴을 위한 남북한 연결도로 개설, 한강하구 지역 남북공동 조사를 통한 해도 작성 등의 성과도 냈다.
그러나 남북은 9.19 군사합의를 통해 올해 2월 말까지 공동유해발굴단을 구성해 상호 통보키로 했지만 지켜지지 않았다. 이에 따라 비무장지대(DMZ) 내 화살머리고지에서의 남북공동유해발굴은 남측의 단독 발굴만 이뤄지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까지 군사분계선(MDL) 이남 우리측 지역에서 1500여 점의 유해를 발굴했다.
|
실제로 북한은 최근 남한이 사정권인 단거리 탄도미사일과 장사정포 등을 잇따라 발사하며 9.19 군사합의 취지에 어긋나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 군사합의에선 단거리 발사체 관련 내용은 명시하지 않고 있지만, 제1조에서 “남과 북은 지상과 해상, 공중을 비롯한 모든 공간에서 군사적 긴장과 충돌의 근원으로 되는 상대방에 대한 일체의 적대행위를 전면 중지하기로 하였다”고 돼 있다.
‘일체의 적대행위를 전면 중지하기로 했다’는 부분은 남한을 타격권으로 하는 ‘전술유도무기’ 등의 실사격 훈련이 군사적 긴장과 충돌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는 대목이다.
그러나 국방부 관계자는 “9.19 군사합의는 지난 1년 동안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도를 획기적으로 낮췄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1950년 6.25전쟁 이후 70여 년간 지속돼 온 남과 북의 군사적 대결과 긴장의 세월을 하루 아침에 극복할 수는 없다”며 “우리는 인내심을 갖고 신중하게, 상호 신뢰관계를 쌓기 위한 노력을 멈추지 않고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