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윤진섭기자] 주택시장이 위축되면서 건설업계의 위기감이 증폭되고 있다. 금융권의 대출축소에 이어 금리 인상이 현실화되면서 실수요자들이 청약에 나서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내년 3월에 기반시설 부담금제도가 도입됨에 따라 건설업계는 가계대출 축소, 금리 인상, 기반시설 부담금 등 3중고에 따른 자금 부담 증가에 전전긍긍하고 있다.
13일 건설업계와 은행권에 따르면 투기지역 내 주택담보대출 한도는 상반기 60%선에서 40%로 대폭 축소됐다. 이같은 조치는 분양시장에 직격탄이 되고 있다. 서울 9차 동시분양에서는 308가구 중 25명만 청약해 0.08대 1의 낮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현대건설과 대우건설 등 대기업이 나선 대구 월배지구 분양도 계약률이 50% 정도에 그치고 있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아파트 분양을 받으려는 실수요자들도 대출이 축소되면서 자금 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1가구 2주택 양도세 강화 방침이 정해지면서 가수요도 찾아볼 수 없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금리도 인상됐다. 금리가 인상되면 분양업체는 그동안 분양 촉진책으로 써먹던 중도금 무이자 대출을 줄일 수 밖에 없다. 또 금리인상은 건설업체의 부실을 초래할 수도 있다. 대부분의 업체들이 금융권으로부터 빌린 돈으로 아파트 공사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기반시설부담금제 도입도 발등에 떨어진 불이다. 내년 3월부터 60평 이상 재건축, 개개발 등 신증축 건물에 기반시설부담금이 부과된다. 업계에선 기반시설부담금은 공시지가의 8~10%에 연면적을 곱한 수준이기 때문에 300억원의 사업비 중 최대 90여억원 가량을 기반시설부담금으로 내야 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기반시설부담금이 부과되면 건설업체들이 이를 원가에 반영해 아파트 분양가가 오를 것이라는 지적도 적지 않다. 업계 관계자는 "분양 시장이 침체된 상황에서 악재들이 동시다발적으로 튀어나와 어려운 상황"이라며 "내부적으로 대책 마련을 하고 있지만 마땅한 탈출구가 없어 고민이 크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