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최근 7억8000만원, 감정평가사 58명을 투입해 공시가 표본조사 용역에 착수했다. 용역 내용은 △토지·단독주택·공동주택 공시가격 현황 분석 △공시가격 적정성 조사를 위한 표본 선정과 표본 부동산의 적정 시가 조사 △25개 자치구별 현실화율 조사 및 공시가격 균형성 분석 체계 수립 등이다.
|
특히 주목되는 건 자치구별 현실화율 조사 및 공시가격 균형성 분석 대목이다. 지난 3월 공동주택 공시가격이 공개된 이후 강남권과 강북권은 희비가 극명히 갈렸던 까닭이다. 고가 주택이 몰린 강남권에서는 지난 연말께 집값이 꽤 내렸음에도 공시가격은 과하게 올랐다는 불만이 터진 데 비해, 강북권에선 상대적으로 공시가 인상에 따른 불만 토로가 적었다. 올해 들어선 노원구, 도봉구, 강북구 등 강북권 집값이 적잖이 오르면서 강남·강북권 아파트 집값 격차가 줄어드는 추세다.
단독주택과 공동주택의 현실화율 차이도 균형성 조사에서 부각될 수밖에 없다. 지난해 기준 공시가격 현실화율은 단독주택 53%, 공동주택 68% 수준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이뤄지는 공시가격 균형성 조사는 강북권과 단독주택의 낮은 공시가격 현실화율을 확인하는 과정이 돼, 이를 일정 수준 끌어올려야 한다고 주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일각에선 이번 조사를 서울시가 공시가격 결정 권한을 가져오기 위한 사전 정지작업으로 보고 있다. 공시가 결정 및 발표 후엔 형평성 문제 등으로 민원과 불만이 상당해 지자체마다 곤혹을 겪어왔다. 이 때문에 서울시를 비롯해 경기도, 제주도 등 지자체마다 공시가격 결정 권한 이양을 정부에 요구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