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병관리본부는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필수예방접종 백신 수급 안정화 대책’을 마련했다고 9일 밝혔다. 지난해 영아용 결핵예방 백신인 피내용 BCG, 소아마비 예방백신인 IPV의 단독공급, 수입의존에 따른 국내 공급 부족을 겪은 후 수급 안정을 위해 제도적 장치를 마련한 것이다.
먼저 단독으로 공급하거나 수입에 의존하는 백신부터 국가가 직접 총량·장기구매(3~5년)할 수 있도록 추진한다. 대부분의 필수 백신은 민간이 개별·소량 구매해 사용하고 정부가 직접 장기계약으로 구매하지 않아 제조·수입사 사정에 따라 공급 차질이 생겼다. 총량구매 방식 확대에 따른 조달계약 비용은 5억4600만원이 내년 정부안에 편성됐다.
또 백신의 수입의존 및 단독공급 여부, 공급중단 시 접종지연 파급 등을 고려해 대상백신을 정하고 차질 대응에 필요한 3~6개월 분량을 비축할 계획이다. 지금까지는 공장가동 중단 등 공급이 중지됐을 때 즉시 정부가 사용할 수 있는 국내 현물백신의 보관·활용체계가 없었다.
백신 수급전망을 예측하는 사전 알람체계도 구축한다. 이를 위해 백신 제조·수입업체의 공급계획·실적 등 공급량과 접종량·폐기량 등 사용량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분석키로 했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현재는 제조·수입업체의 백신 수입·생산·공급의 시기와 규모 등의 연·월간 계획, 이행에 대한 현황 파악을 제때 하지 못해 수급 차질에 대한 조기 인지가 어렵다”면서 “사전 알람체계의 원활한 수급관리 운영 지원을 위해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내 국가백신사업지원TF단 신설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밖에 공급 차질이 발생할 경우 국내 미허가 또는 공급중단 백신을 적기에 특례수입할 수 있도록 관련 제도를 활성화 할 예정이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 본부장은 “필수예방접종 대상 백신을 계속 늘리고 있는 국내 상황에서 이번 대책을 통해 수급 불안에 대한 공공 안전망을 구축, 국민의 건강을 보호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수급 안정화 대책 뿐만 아니라 2020년 운영 예정인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를 통해 국내 백신의 자급화에도 적극 투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