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트라(KOTRA)는 트럼프 취임을 앞두고 15일 발간한 ‘트럼프시대의 미국 공공인프라 시장’ 보고서를 통해 트럼프 당선자가 공약한 1조 달러 공공인프라 시장 진출방안을 제시했다.
전미엔지니어링협회에 따르면 미국 공공인프라 시설은 ‘D+’ 등급으로 트럼프는 임기 초반 가시적 성과를 내기 위해 인프라 정책에 집중할 가능성이 높다. 개·보수 및 신설을 위해 2025년까지 3조3000억 달러가 필요한데, 최소 1조4000억 달러가 부족한 형편이다.
|
국내 건설사 해외건설 수주 금액 가운데 북미시장은 4.5%에 불과하고 기술(설계) 경쟁력은 취약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연방예산 투입 인프라 사업에 미국산 사용 비율을 현재 60%보다 높이려는 입법이 추진되는 등 바이아메리카 규정 강화는 해외기업 참여에 장애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보고서는 “이러한 상황을 종합해볼 때 우리 기업은 선단형 컨소시엄 구성·현지화·틈새시장 공략의 3대 전략으로 미국 공공인프라 시장에 접근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먼저 국책은행, 건설사, IT 기업, 제조기업, 서비스기업이 동시에 참여하는 ‘선단형 컨소시엄’을 구성해 전방위적 가치사슬 역량을 확보하는 것이 급선무다.
재원이 부족한 미국내 상황을 고려해 국책은행은 미국 인프라 시설에 적극 투자하고, 우리 기업의 기자재 공급, 설비건설 참여 등을 요청해야 한다. 건설사의 경우 현지 중소 건설사와 제휴를 맺거나 전략적 인수합병(M&A)을 통해 주·지방정부 프로젝트부터 실적을 쌓아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주차장 현대화, 고속도로 휴게소, 스포츠·유락 시설, 정부청사 건설 등 한국 기업이 경험 많은 특화된 틈새시장을 공략하는 것도 중요하다.
대규모 인프라 건설로 미국내 철강, 기계 및 기자재 수요는 큰 폭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특히 수송기계 및 부품, 중장비, 건설소재, 전선·케이블 등 관련 제품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생산시설을 미국으로 이전하거나 현지기업과 생산 공정 협력을 강화하는 등 현지화 노력이 필요한 이유다.
조영수 KOTRA 시장동향분석실장은 “안정적 수요뿐만 아니라 성장 잠재력을 동시에 갖춘 미국 공공인프라 시장 참여는 국내기업에게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선단형 진출로 규모, 기술, 자금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철저한 현지화 전략을 통해 틈새시장을 공략하는 등 장기적 안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관련기사 ◀
☞올해 수출 '인프라·내수시장·전자상거래'에 주목해야
☞KOTRA, 한-일 1대1 상담회 참가기업과 후속 간담회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