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서 미국 정부는 지난해 10월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AI에 대한 행정명령’을 제시했다. 기업이 개발한 AI가 국가 안보·경제 등에 위험을 초래할 경우 이를 정부에 알리고 AI 안전 테스트 결과 및 정보를 정부와 공유토록 하는 것이 골자다. 최근 미 하원 의원은 컴퓨터와 AI 분야 전문 지식을 갖춘 의원들로 구성된 위원회를 구성했고, 상원의 AI 실무 조직은 AI 분야 미 혁신 추진을 위한 정책 로드맵을 발표하기도 했다.
워커 사장은 이러한 미 정부의 규제 방식에 대해 “환영한다”면서도 “민주주의 국가 기업들은 현재까지 AI 역량과 근간이 되는 AI 연구에서 발전을 주도해 왔다. 계속해서 높은 목표를 정하고 미래 AI 발전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AI가 사업 전 분야에 핵심 기술로 활용되는 가운데, 미국의 AI 규제가 사업 성장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사실상 우려한 것이다. 구글은 검색엔진·번역·지도·지메일·유튜브 등 서비스에 다양한 방식으로 AI를 도입해 활용 중이다.
이번에 구글이 제안한 7가지 원칙에는 △AI의 유익함은 인정하고 이를 지연시키지 말 것 △AI가 주는 이점에 집중할 것 △저작권 균형을 유지할 것 등이 포함됐다. 또 미 현행법상 존재하는 AI 관련 내용의 공백을 메우고, 미국 내 600개 이상 법안에 국제 표준에 부합하는 접근 방식을 반영해야 한다는 내용도 담았다.
끝으로 워커 사장은 “AI의 장기적인 잠재력에 계속 집중한다면 더 놀라운 혁신을 주도할 수 있다”며 “이를 위해 일관되면서 사려 깊고, 협력적인 자세가 필요하다. 우리가 (AI 발전을) 올바르게 수행할 경우 모든 사람이 이점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