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이준석 비단주머니 1호 '크라켄'…"화이트해커팀이 석달간 날밤 샜다"

이후섭 기자I 2021.12.12 12:54:45

이영 국민의힘 의원 인터뷰
`기계는 기계로 잡는다` 크라켄 가동 논의 본격 시작
화이트해커 4명이 3달 걸려…사이버수사 투입될 실력 갖춰
이상행위 패턴 분석이 중요…"한달간 시범 가동서 문제 없어"
정치권 AI기술 확산될 것…빅데이터 기반 유권마 마케팅도

이영 국민의힘 디지털정당위원장이 지난 8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이데일리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사진=노진환 기자)
[이데일리 이후섭 기자] “선대위와 `크라켄` 운영을 위한 논의를 본격적으로 시작할 것이다.”

이영 국민의힘 의원은 최근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당사 주변에 임대한 건물도 있고 캠프에도 공간이 있으니 어디에서 크라켄을 어떻게 운영할 것인지 논의를 해볼 것”이라며 이 같이 밝혔다.

크라켄은 지난달 국민의힘이 공개한 인터넷 댓글조작 방지 프로그램으로, 디지털정당위원회 위원장인 이영 의원이 주도해 개발했다. 당시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는 윤석열 후보를 위해 마련한 선거 비책인 이른바 ‘비단주머니 1호’로 주목받았다.

크라켄의 기능은 주요 키워드와 관련된 기사와 댓글 정보를 크롤링(웹상의 각종 정보를 자동화된 방법으로 수집해 분류하는 기술)한 뒤, 인공지능(AI) 기반으로 이상행위를 자동 분석해 여론조작으로 의심되는 댓글과 IP를 수사기관에 신고한다.

과거 드루킹 인터넷 여론조작 당시 활용된 프로그램 이름이 `킹크랩`인 것에 착안해 킹크랩의 천적인 전설 속 대왕문어 크라겐에서 이름을 따왔다.

크라켄은 디지털정당위원회 내 민간 위원으로 구성된 사이버보안팀에서 만들었다. 각자의 분야에서 기술을 보유한 전문가 4명이 3달 정도 날밤을 꼬박 새가며 개발한 프로그램이다.

이 의원은 “사이버보안팀의 70%가 현역 화이트해커로 이뤄졌는데, 정부기관이나 대기업에 실제로 침투해서 정기적으로 내부망의 안전성을 검증하는 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며 “이중 2명은 경찰청 사이버수사대의 포렌식 수사나 조사에 투입될 정도의 실력을 갖춘 인물들이기에 그나마 짧은 기간에 개발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 의원이 설명한 크라켄의 개념은 `기계로 기계를 잡는다`이다. 사람이 쓰면 `딜레이 타임`이 걸리게 마련인데, 기계를 이용하면 같은 IP로 동시에 여러 사이트에 접근해 글을 올릴 수 있고 같은 ID로 댓글이 동시에 달리기도 한다. 특정 후보에 대한 부정적인 댓글에 공감 수가 비정상적으로 늘어나느 패턴을 보이기도 한다.

이 의원은 “이러한 패턴을 많이 보유하는게 중요하다. 이를 통해 AI가 이상징후를 찾아내고, 특정 IP와의 연관관계를 가지고 분석을 하게 된다”며 “분석 과정이 끝나면 사람인 분석관이 이를 다시 최종적으로 판별해 당에다 보고하고, 당에서 선관위로 이관하거나 악의적인 문제라면 언론에도 내용을 공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보안 업계에서는 크라켄의 AI 이상행위 탐지를 우회할 가능성도 있다고 염려한다. AI가 학습하지 못한 데이터로 올라올 경우 인지하지 못하는 허점이 생길 수 있기에 크라켄이 얼마나 많은, 어떤 분류의 데이터를 학습했는 지가 관건이라는 것이다.

이에 대해 이 의원은 “크라켄을 공개하고 한 달여간 기술적으로 계속 가동하면서 성능을 검증해 봤는데, 문제는 없었다”며 “빅데이터 기반 마케팅 분석에도 비슷한 기술이 쓰이고 있는데, 화이트해커의 기술력을 더해 불법댓글 행위를 모니터링하는 온라인 방어개념”이라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크라켄처럼 앞으로 AI 등 신기술이 정치권에서 널리 쓰일 것으로 내다봤다. 또 그렇게 되는게 디지털 시대 유권자를 위해 정치권이 가야 할 방향이라는 것이다. 미국의 경우 공화당이 `i360` 플랫폼을 통해 빅데이터 기반의 유권자 맞춤형 공약을 전달해 선거운동을 했다는 설명이다.

그는 “디지털 인구가 계속 늘어나면서 그에 맞는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강화하는 것은 기본이다. 우리도 미국의 i360 같은 시도를 해야 한다”며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선거법으로 인해 불가능하지만, 국회에 산업계와 기술계 분야의 인력들이 많이 유입돼 변화를 이끌어야 한다. 법적인 규제만 없으면 우리나라의 인프라와 기술수준이 높아 몇년 내에 충분히 가능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