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비스는 2001년 LMF를 시작으로 현재 7개의 세계일류상품과 6개의 차세대일류상품을 보유하고 있다. 세계일류상품은 세계 시장점유율 5위 이내 및 5% 이상이어야 하고, 차세대일류상품은 향후 7년 이내 이 같은 세계일류상품으로 도약 가능한 상품만 이름을 올릴 수 있다. 휴비스가 높은 기술력과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게 된 배경에는 휴비스 R&D센터가 자리하고 있다.
대전시 대덕구 휴비스 R&D센터에서 만난 박성윤 연구소장은 “재활용이 가능하거나 재활용된 플라스틱 소재를 활용한 자동차 소재에 대한 고객사 요구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유럽연합(EU)은 기존 ELV(End of Life Vehicle) 지침을 법령으로 개정 중에 있다. 이는 차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부품에 대해 재활용 소재를 25% 이상 사용해야 하며, 이 중 25%는 폐차로부터 재활용된 소재를 사용해야 한다. 또한 폐차의 플라스틱 부품을 30% 이상 회수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그러다보니 자동차 부품의 소재 단일화는 불가피해졌다.
|
예를 들어 현재 대부분의 자동차 부품은 원료 특성상 가볍고 가공이 용이한 PP 소재를 기반으로 표면에는 심미적 효과를 위해 PET 부직포를 덧붙여 사용한다. 하지만 이는 재활용이 불가능하다.
휴비스는 자동차용 휠가드, 언더커버 등의 소재를 PET 소재로 대체해 개발에 성공했다. 휴비스는 올해 상반기부터 현대차 등과 손을 맞잡았다. 박 소장은 “올해 회사 내에 ‘모빌리티 이노베이션’이라는 별도 TF 조직을 만들어 현대차 및 협력사와 협업하고 있다”면서 “친환경적이면서도 기존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하는데, 공동 특허 출원 등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
PET를 발포시켜 폼(Foam)형태로 만든 ‘에코펫’ 역시 마찬가지다. 환경호르몬이 발생하지 않아 스티로폼을 대체하는 식품용기로 적합 판정을 받았으나 최근에는 자동차 내장재로 더 부각되고 있다. 박 소장은 “외형은 스티로폼처럼 생겨서 PP소재 대비 30% 정도 가벼우면서도 PP소재 만큼 견고하다”면서 “가벼우면서도 PET 단일소재이기 때문에 시장의 관심이 크다”고 말했다.
더욱이 휴비스는 최근에 화학적 재활용 LMF 개발에 성공해 상용화에 돌입했다. 박 소장은 “화학재생 LMF 양산 공정을 세계 최초로 개발해 현재 화학적 재생을 위한 해중합 설비의 투자가 진행 중”이라면서 “12월 연 4000t 규모로 CR-LMF(화학 재생 저융점사)의 상업생산을 시작한다는 목표로 설비 구축 중이며, 내년에는 연 1만6000t 규모로 설비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