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전 세계 주요 18개국 대표 경제단체와 국제기구·경제협의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ADAfter Disease) 1년, 포스트-코로나 세계 전망’ 조사를 통해 7일 이같이 밝혔다. 설문에 참여한 국가는 미국, 일본 등 주요 18개국으로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54%를 차지한다.
이들은 코로나 19 이후 글로벌 경제 회복 예상 양상에 대해 올 가을·겨울 코로나 2차 대유행으로 2차 락다운을 예상하는 더블딥(W자형) 시나리오를 52%로 가장 많이 꼽았다.
또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에 대해서는 응답국가의 52%가 마이너스 4% 이하의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해, IMF의 예측인 마이너스 3% 이하보다 비관적 전망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국의 실업률에 대해서도 마이너스 10% 이하로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이 전체 응답국가의 40%를 차지했다.
세계 각국은 코로나 19 이후 기존 통상체제의 지각변동을 전망했다. 응답 국가의 약 40%가 북미·유럽이 경기침체에 직면하고 아시아 국가들이 상대적으로 도약하게 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
또 현재의 전 세계적 인력 감축은 락다운 기간 동안의 한시적 현상으로 경제 재오픈 시 점차 고용이 회복될 것이라는 응답(52%)이 대다수였다. 1년 이상 장기적인 대규모 인력감축과 실업(20%), 본격적이고 전면적인 생산 자동화·무인화 시대로의 전환(8%)보다 많아 다소 희망적인 전망을 보였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기업들과 접촉이 많은 주요국 경제단체에서 느끼는 코로나19 경기침체 체감이 예상보다 크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코로나 이후 세계경제에서 아시아의 부상을 세계경제계가 예측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이 선두에 나설 수 있도록 우리 기업과 정부에서는 글로벌 산업재편에 대한 대비를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김 실장은 “그간 지적돼왔던 성장 저해요소 타파와 기업환경 개선, 세계경제단체가 공감하는 노동유연화 실현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