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소득상한 인상, 빈부 격차 확대 등 부작용 우려"

박기주 기자I 2016.03.06 12:00:00
[이데일리 박기주 기자] 국민연금 소득상한 인상 논의에 대해 부작용이 클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최근 학계에서는 국민연금제도가 장기적으로 유지되려면 소득상한을 인상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소득상한이 인상되면 그만큼 고소득자가 보험료를 많이 내 소득계층 간 보험료 부담 형평성이 개선될 수 있고, 연금급여액도 올라갈 수 있다는 논리다.

보험연구원은 6일 ‘국민연금의 소득상한 인상 타당한가?’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은 소득상한 인상이 국민연금기금 재정을 악화시키고 노후 소득격차를 확대하는 등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최장훈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소득상한 인상은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적립기금 고갈 문제와 소득 계층별 형평성 문제·사업주 부담 문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설명했다.

최 연구위원은 “소득상한 인상은 보험료 수입을 늘릴 수는 있지만 수급 시점에서 연금 수급액이 납부한 보험료보다 더 많아지기 때문에 국민연금의 재정은 더 악화될 수밖에 없다”며 “현행 국민연금의 평균 수익비가 고소득층의 경우에도 1보다 큰 제도적 특성이 있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국민연금의 기금재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또 “고소득자가 보험료를 추가적으로 더 내게 되겠지만 급여수준도 그 이상으로 증가하게 될 것”이라며 “이는 고소득자와 저소득자 사이의 연금액 격차를 더욱 확대시킬 우려가 있고, 결국 고소득층에게 추가적인 부(富)의 이전이 발생하게 된다”고 덧붙였다.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간의 문제 외에도 정부 및 기업의 부담도 커질 것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가입자 입장만이 아니라 보험료 절반을 내야 하는 사업장 입장에서도 생각해볼 문제라는 것이다.

최 연구위원은 “소득상한을 높이면 보험료도 올라가게 되는데, 사업장 가입자의 경우 보험료 절반을 기업이 부담하므로 사업주의 부담이 가중될 것”이라며 “최근 경기침체 등으로 경영이 어려운 상황에서 추가적인 인건비 부담을 초래하게 돼 기업의 신규 고용 창출이 어려울 수 있다는 점도 고려돼야 한다”고 말했다.

최장훈 연구위원은 “국민연금 소득상한을 인상하자는 제안은 가입자의 노후보장수준이나 보험료 부담의 형평성뿐만 아니라 연금 재정 악화와 기업의 재원부담 문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재검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