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질병관리본부가 공개한 ‘국내 SFTS 발생 현황과 역학적 특성’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5월부터 올해 3월까지 SFTS 의심 사례로 신고된 420명 가운데 36명이 바이러스 검사 결과 확진 판정을 받았다. 보건당국의 이번 분석은 확진자 가운데 증상이 나타난 35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
신종 감염병으로서 아직 국내에서 발견된 환자 수 자체가 많지 않은데다 중증 환자 위주로 보고되고 있어 치명률이 높다는 게 질병관리본부의 설명이다. 질병관리본부는 주변국에서 발견된 SFTS 바이러스와 국내 바이러스를 비교하는 추가 연구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발생 시기를 월별로 살펴보면 6월(9명·25.7%)에 감염된 환자가 가장 많았다. 이어 5월(7명)·7월(6명)·9월(5명) 등의 순이었다. 환자의 80%(25명)가 50세 이상이었고 전체 환자 연령의 중앙값(가운데 수치)은 73.5세였다.
사망자와 생존자를 나눠보면 연령 중앙값이 각각 73.5세, 61세로 나이가 많을수록 회복이 쉽지 않았다. 거주지는 주로 시골 지역(26명·74.3%)으로 직업도 농업(19명·54.3%)·임업(6명·17.1%)이 전체의 70%를 넘었다. 야생진드기에 물릴 당시 행위도 농작업 20명(60.6%), 임작업 7명(21.2%), 등산 6명(18.2%). 성묘 3명(9.1%) 등으로 거주지나 직업과 관련이 있었다. 31.4%(11명)의 환자에서 야생진드기에 물린 흔적이 확인됐고 12.5%는 발병에 앞서 환자 자신이 야생진드기에 물린 사실을 알고 있었다.
행정구역상 환자의 분포는 제주 6명, 경북 5명, 대구 5명, 전남 4명, 강원 3명 등으로 나타났다. 서울·대전·광주·충북·전북·세종시 등에서는 환자가 보고되지 않았다.
환자들은 공통적으로 발열·오한(춥고 떨림) 증상을 보였고 피로감(26명·74.3%), 의식저하(26명·74.3%), 설사(22명·66.9%), 식욕저하(21명·60.0%), 근육통(19명·54.3%) 등도 겪었다.
▶ 관련기사 ◀
☞ "살인진드기 주의보" 해충방지·쿨링의류, 夏전쟁
☞ ‘살인 진드기’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은 어떤 질병?
☞ [특징주]살인진드기 공포 재발..관련주 들썩
☞ `살인 진드기` 올해 첫 사망자 발생, 66세 남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