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한국경제연구원이 헤지펀드 조사기관 ‘액티비스트 인사이트’의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글로벌 헤지펀드는 2013년 상반기 기준 275개에서 올해 상반기 524개로 약 90% 가량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들어 규모가 큰 기업에 대한 투자 비율도 높아졌다. 2016년 시총 20억 달러(약 2조원) 이상의 기업 비중은 33%였으나 지난해에는 36%을 기록했다.
아울러 글로벌 행동주의 헤지펀드는 미국, 유럽 기업에 국한하지 않고 활동 대상 지역을 넓혀가고 있다고 한경연은 밝혔다.
최근 몇 년 사이 아시아 내에서 이뤄지는 헤지펀드의 활동이 현저하게 증가했는데, 아시아 기업을 대상으로 한 경영개입 횟수는 2011년 10회에서 2017년 106회로 집계됐다.
한경연은 “아직까지는 일본 및 중국 기업 대상으로 집중되어 있다”면서도 “엘리엇의 2015년 삼성물산 제일모직 합병 개입 사례와 2018년 현대차그룹 구조개편 개입 등 최근 사례를 보면 우리나라도 안심할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한경연은 또 행동주의 펀드들의 목표가 장기적 관점에서의 투자가 아니라 경영개입으로 주가를 끌어올려 단기 시세차익을 내고 떠난다고 지적했다.
엘리엇은 2015년에 미국 광산업체 Alcoa의 주식을 취득하면서 이사회 자리를 3석 차지하고 스핀오프, CEO 사임 등을 요구했다. 그러다 2017년 마지막 분기에 보유 주식 3분의2 가량을 매도, 104%의 수익을 남겼다. 써드 포인트 파트너스도 2011년 야후 주식을 다량 매수, 이사회 의석을 확보하고 이듬해 스콧 톰슨 최고경영자를 몰아내는 등 공격적인 개입을 이어오다 2013년 124%의 수익률로 보유주식 3분의 2를 매도했다.
행동주의 펀드와의 위임장 대결로 초래되는 비용 또한 기업에게는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 액티비스트 인사이트에 따르면 시가총액 100억 달러 이상의 기업이 행동주의 펀드와 위임장 대결을 했을 경우, 평균적으로 펀드 측은 700만 달러, 기업은 1400만 달러를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측이 2배가량 더 많은 비용을 소요하는 것이다.
한경연은 “이처럼 글로벌 행동주의 헤지펀드의 세력이 점점 더 거세지고 있는 가운데, 집중투표제, 감사위원 분리선출 등의 내용을 담고 있는 상법개정안이 국회에 계류 중”이라며 “이러한 제도가 시행되면 우리 기업이 글로벌 헤지펀드의 총공격 대상이 될 수밖에 없다”고 꼬집었다.
유환익 한경연 혁신성장실장은 “최근 몇 년간 행동주의 헤지펀드의 공격적인 경영개입 성향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도 차등의결권·포이즌필과 같은 경영권 방어 수단 도입을 본격적으로 논의할 시기”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