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V가 신성장동력]CSV, 사회공헌 넘어 경영 패러다임으로

박철근 기자I 2014.07.16 08:36:26

세금처럼 내던 기부 형태 식상…공익과 기업이익 동시 추구

[이데일리 박철근 기자] 공유가치창출(CSV, Creating Shared Value). 단어조차 낯선 이 말이 재계의 새로운 경영 패러다임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지난 2011년 마이클 유진 포터 하버드대 경영학과 교수가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에서 처음 소개한 CSV는 최근 ‘시대의 요구’라는 명분으로 국내외 기업들의 경영전략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는 과거 기업의 사회공헌활동(CSR)이 금액을 단체 등에 기부하는 평면적인 활동에 그쳤다면, 이제는 기업의 이익과 공익을 동시에 쫓아야 하는 입체적인 활동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재계 한 고위 관계자는 “연말연시나 자연재해 등을 입었을 때 마치 세금처럼 일정규모의 금액을 기부하는 것이 의미가 있는지 모르겠다”며 기존 CSR의 한계를 지적했다.

이에 삼성전자(005930), 현대자동차(005380), LG전자(066570) 등 국내 주요기업들도 새로운 형태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실천을 위해 CSV로 눈을 돌리고 있다.

삼성은 세계 최고 수준의 정보기술(IT) 인프라를 활용해 소외된 국내외 지역 사회의 발전을 돕고 있다. 현대차는 수소자동차 개발에 박차를 가해 미래 자동차 시장 선점과 환경오염 방지라는 두 마리 토끼를 쫓는 데 주력하고 있다.

LG전자는 모든 사람들이 자사 제품을 편리하게 이용하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아 장애인들도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정보기술(IT) 기기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이외에도 현대중공업(009540)의 인재 양성 지원이나 SK텔레콤(017670)의 중장년 창업 지원 및 전통시장 활성화 프로그램 운영 등 다양한 형태의 CSV 활동이 펼쳐지고 있다.

이는 가격, 품질 등 전통적인 소비자의 구매결정 요인에 ‘이미지’가 추가됐기 때문이다. 아무리 좋은 가격과 품질을 지닌 제품을 시장에 선보이더라도 해당 기업의 이미지가 나쁘다면 소비자들은 쉽게 지갑을 열지 않는다.

이에 따라 재계는 최고의 경쟁력을 공익활동에 접목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 CJ처럼 경영 전면에 CSV를 내세운 곳이 있는가 하면, CSV 전담부서를 설치한 기업도 다수 존재한다.

하지만 공익추구만 맹목적으로 추구하는 것은 오히려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해당 기업이 영위하고 있는 ‘업’의 본질과 상반되는 CSV 활동은 오히려 역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 관련기사 ◀
☞10대 그룹 상장사 사내유보금 516조…5년 새 2배 불어
☞삼성전자, 에너지 효율 업계 최고 인증
☞[증시브리핑]가뭄에 단비 즐기기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