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의 진전을 위해서는 바이든 신 행정부의 출범 초기이자 대북정책을 검토 중인 지금이 한반도 정세 변화의 적기라고 보고, 다시 한번 한미 간 긴밀한 소통과 협력의 필요성을 재발신한 것이다.
|
이 장관은 실례로 바이든 대통령이 후보자 시절 언급한 핵능력 감축을 전제로 한 북미정상회담 가능성을 예로 들면서 바이든 정부의 대북정책 인식과 우리 정부의 포괄적 비핵화 협의 및 단계적 이행이라는 접점을 찾을 수 있다며 이런 기회의 요인을 통해 한미 비핵화 케미(가 재현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는 2019년 하노이 노딜 이후 답보 상태에 빠진 한반도 상태가 안타깝지만 사실이라면서도 “김대중 정부와 클린턴 정부가 협력해 남북미 관계의 선순환을 이룬 바 있다. 6.15남북공동선언과 북미 관계개선을 담았던 북미공동커뮤니케는 한반도 문제 해결의 남북미 간 큰 자산”이라고 언급하는 등 한반도 정세 전환 의지를 재차 내비쳤다.
그러면서 올초 연 북한의 8차 당대회를 언급했다. 이 장관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8차 당대회에서 대미대남 정책에 대한 구체적인 입장을 표명하지 않았지만, 유보적 입장을 보였다”며 “미국 신 행정부의 대북정책 탐방과 한미의 방향 설정에 따라 후속조치를 저울질 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
특히 우리 정부의 역할을 강조했다. 그는 “북한 상황을 관망하고 있기 보다 적극적, 주도적으로 정세변환을 이끌어나가고자 한다”면서 “남북관계를 복원하고,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와 북미 비핵화를 본궤도에 진입시키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이의 일환으로 “올해 상반기 중으로 적어도 남북 연락채널 복구 및 남북관계를 복원하고 하반기에는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본궤도에 진입시키는 이런 목표를 세우고 굉장히 적극적으로 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국제사회와 미국 정부를 향해서도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진전에 함께 동참해줄 것을 당부했다.
그는 “남북, 북미 선순환 속 한반도 평화 진전은 미국을 비롯한 주변국의 안전도 도모할 것”이라면서 “한반도 문제는 결코 남북만의 문제가 아니다. 더 나아가서는 미국 정부의 평화 의지에도 부합하는 길이라고 생각한다”며 동참을 촉구했다.
이 장관은 “한반도 분단을 미결과제로 남겨둘 것인지, 평화 번영이라는 새로운 길로 나서게 할지는 우리의 선택과 집중 노력으로 좌우될 것”이라며 “한미와 국제사회가 신뢰하는 변화, 국민이 공감하는 변화, 북한이 호응하는 변화를 실현코자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