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50 중년여성, 성대 결절에 특히 취약해 조심해야

이순용 기자I 2016.04.21 08:58:39

심평원 통계 따르면 성대결절 앓는 여성 중 40%가 4050 여성... 갱년기 호르몬 변화로 인해 성대 약화가 주요 원인

[이데일리 이순용 기자] 보통 성대결절은 6~7세 아동이나 30대 초반 여성에게 많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 자료에 따르면 중년 여성 환자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평소 목소리가 허스키하거나 자주 갈라지는 40대 이상 여성이라면 성대결절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프라나이비인후과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를 분석한 결과 2015년 성대결절로 병원을 찾은 환자 총 9만644명 중 약 68%인 6만1,416명이 여성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2만4,120명이 4050세대였다. 이는 전체 여성의 약 40%에 달하는 수치로 중년 여성이 성대결절에 취약한 것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남성에 비해 여성이 성대 질환을 앓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여성의 성대 근육이 남성보다 짧으며 성대 면 접촉도 쉽지 않은데다가 외부 자극에 약하며, 사춘기에 성대 근육을 강화시키는 안드로겐 호르몬이 분비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중년 여성에게 성대결절이 자주 나타나는 원인은 무엇일까? 프라나이비인후과 안철민 원장은 “중년 여성의 경우 갱년기의 영향으로 성대결절이 발생하기도 한다”며, “40대에 들어서면 여성 호르몬 분비가 줄어드는데 이때 성대 구조도 변화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갱년기, 목소리에도 영향을 끼쳐

여성이 성대결절에 취약한 이유 중 하나로 구조적인 원인을 들 수 있다. 남성에 비해 여성은 성대 근육이 짧으며 성대 면 접촉도 쉽지 않고 호흡 기능도 약해 음주나 흡연과 같은 자극에도 성대가 상할 확률이 높다.

또 남성은 사춘기에 분비되는 호르몬인 안드로겐이 성대 근육을 강화시키지만 여성의 경우 분비되지 않아 상대적으로 성대 근육이 약할 수 밖에 없다. 더군다나 임신과 출산 등을 겪으면서 생기는 급격한 호르몬 변화도 원인이 된다.

특히 중년 여성의 경우 갱년기가 되면 여성호르몬 분비가 줄어 들어 성대 점막이 위축되며 건조해지고 근육도 더욱 약해진다. 또 점막 하부에 부종이 생겨서 성대 진동이 어려워지고 더 강한 발성 호흡이 필요해져서 부적절한 발성 기능이 나타나게 된다. 이 때문에 평소와 같이 말을 하더라도 성대가 받는 자극이 커 성대결절이 쉽게 발생하는 것이다.

갱년기가 되면 신경질이나 화, 우울증 등 감정적인 변화가 발생하기 쉬운데, 이때 평소보다 공격적이고 힘을 줘 말하기도 한다. 이런 발성을 지속하는 것도 성대에 무리를 줘 성대결절의 원인이 된다.

◇성대 결절, 방치하면 만성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

이처럼 중년 여성의 경우 성대결절이 발생할 확률이 높은 만큼 평소 목소리 관리에 각별히 신경 써야 한다. 특히 갱년기가 찾아오면 몸은 물론 성대도 약해지므로 최대한 목소리 사용을 줄이고, 따뜻한 물을 자주 마시는 것이 좋다. 또 평소 습관적으로 공격적이고 큰 소리로 말하는 것은 성대에 무리를 줄 수 있으므로 심리적 안정을 취하려는 노력도 중요하다.

평소와 달리 목소리가 허스키하거나 갈라지며 통증 혹은 이물감이 2주 이상 지속 된다면 이미 성대결절이 생겼을 수도 있다. 방치할 경우 만성으로 이어질 수도 있으므로 병원을 방문해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대부분의 경우 보톡스나 필러 주입술과 같은 주사 치료를 통해 간편하게 개선할 수 있다.

다만 주사치료의 경우 시술 효과가 반영구적이고 잘못된 발성 습관을 지속한다면 언제든지 재발할 수 있다. 따라서 시간이 걸리더라도 음성언어치료를 통해 발성 습관을 교정하는 등 근본적인 원인을 치료하는 것이 좋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