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사설]서울시 ‘투자유치 전담기관’ 신설, 정부도 협력해야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
논설 위원I 2025.07.17 05:00:00
서울시가 투자유치 전담기구로 ‘서울투자진흥재단’을 만든다고 발표했다. 전국 광역 지방자치단체 중 처음으로, 시 산하 재단법인이다. 차근차근 준비를 잘해 국내외를 막론하고 의미 있는 신규 투자유치의 성과를 내기 바란다.

서울의 경쟁력이 그대로 대한민국의 경쟁력이 된 것은 이제 부인하기 어려운 현실이다. 서울 수도권 집중과 과밀화의 문제점은 그것대로 고민이고 해결해나가야 할 과제이지만 그렇다고 서울의 국제 경쟁력을 우리 스스로 억지로 억누를 수도 없는 노릇이다. 현대 사회가 전문화 산업화 분업화 도시화로 인해 거대 도시의 비대화가 가속화하는 것은 세계적 현상이다. 한편으로는 지역 경쟁이 국가 간 경쟁을 대체하는 시대가 됐다. 이 순간에도 서울은 상하이 베이징 도쿄 오사카 홍콩과 치열한 미래 선점 경쟁을 하고 있다. 국내 관점에서만 보면 수도권과 지방의 균형발전 문제가 극복 과제이지만 나라 밖으로 시선을 돌려보면 문제의 차원이 크게 달라지는 것이다.

세계 6위(일본 모리연구소 세계 도시종합경쟁력 지수, 2024년)의 경쟁력을 갖춘 서울의 강점을 극대화해 투자유치에서 잘 활용할 필요가 있다. 오세훈 시장이 ‘톱5’ 진입을 목표로 달려온 만큼 새로 출범하는 투자진흥재단도 이 프로젝트와 적극 부합하면 조기에 가시적 성과가 가능할 것이다. 경계할 것은 우리 사회 일각의 매사 국내 관점으로만 보는 편협한 시각이다. 수도권 입지 규제를 들이대며 모든 신규 투자도 지방에서 이뤄져야 한다는 식은 곤란하다. 교통 문화 인력 등 유무형의 모든 인프라가 앞선 서울의 장점을 국내외 투자자에게 적극 설명, 설득하면서 유인책으로 활용하는 게 좋다.

사실 투자유치는 중앙 정부가 적극 나서야 할 일이다. 세제 혜택, 각종 행정규제의 적용, 자금 지원 등 투자유인책의 큰 내용을 봐도 그렇다. 지자체인 서울시가 발 벗고 나선 것은 고착이 우려되는 0%대 저성장을 벗어나자는 나름의 고육책일 것이다. 그렇다면 새 정부도 서울시를 힘껏 지원하며 함께 투자유치에 나서야 한다. 중앙 정부와 지자체장이 정파적 차이로 인해 공조해야 할 기본 업무조차 외면하는 구태가 반복돼선 안 된다. 투자유치에서 서울시의 창의적 접근, 적극적 행정 서비스를 기대한다.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