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는 이어 “(박 전 위원장 영입 당시)당원 투표를 했던 것은 민주적 어떤 인정을 받기 위한 인준절차에 불과했고, 동의를 얻는 절차였다”며 “본인만 옳다라고 하면서 자기주장만을 계속해서 고집하는 그런 태도를 벗어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대표적인 친명계(친이재명계) 의원으로 꼽히는 김 의원은 이날 비상대책위원회의 전당대회 예비경선 룰 번복에 대해서도 “특정한 사람을 최고위원에 보내겠다는 목적이 있는 것”이라고 날을 세웠다.
그는 ‘당 대표보다는 최고위원을 겨냥한 규칙이라고 보느냐’는 진행자의 질문에 “그렇다. 같은 어떤 주장을 하는 그런 어떤 이익에 부합한 결정을 했다고 보고, 너무 말도 안 되는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사실은 (전준위가 만든) 전대룰도 아주 약간 변화한 정도에 그친 정도여서 실망스럽다고 평가를 하는 게 맞다. 그런데 비대위에서의 결정은 전혀 논의되지 않는 정말 그야말로 계파의 이익, 특정한 어떤 세력의 이익을 위한 룰을 저는 만들었다고 본다”며 “혁신과 쇄신을 거부할 수밖에 없는, 그리고 일부의 국회의원들의 기득권을 강화해 주는 룰”이라고 꼬집었다.
중앙위원의 구성이 특정 계파, 즉 친문(친문재인)계에 쏠려 있다는 게 김 의원을 비롯한 친명계 의원들의 판단이다. 김 의원은 “(중앙위원은)특정계파에 쏠려 있다라고 볼 수도 있고, 또 특정계파에 쏠리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그룹 간에 짬짜미도 충분히 가능하다”며 “특히나 최고위원을 권역별로 투표한다라고 하면 해당 권역의 의원들끼리 이번에는 네가 나가고 다음에는 내가 너 밀어줄게라는 식으로 해서 출마자를 추려가지고 후보자를 내는 그런 식의 짬짜미도 가능하기 때문에 이것은 상당히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최고위원 선거 방식을 ‘지역 배분’이라는 명분을 두고도 강압적이라는 비판을 쏟아냈다. 김 의원은 “(지역안배는)논리적으로 근거가 없는 이야기다. 최근 몇 년 동안 호남·충청·영남권에 최고위원이 없었다라고 하면서 지역안배를 위해서 그렇게 했다라고 이야기를 하는데, 해당 권역 최고위원들이 다 있었다”며 “지역안배를 한다고 하더라도 이렇게 당원들이 가지고 있는 자유롭게 투표할 수 있는 권한을 이 권리를 이렇게 가장 강압적이고 폭력적인 방법으로 과도하게 제한하는 것은 자유투표 원리에 맞지 않다고 본다”고 했다.
비대위 결정에 대해 이날 당무위원회 의결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당무위가 의결하면 승복할 것이냐는 질문에 김 의원은 “그건 좀 더 따져봐야 될 것 같다. 법적인 절차도 생각해볼 문제인데 아마 그렇게 무리하게 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만약 뒤집힌다면) 비대위는 당연히 책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