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남·북 DMZ 공동 유해·역사유적 발굴…최대의 적 '지뢰'

김관용 기자I 2018.09.26 09:00:00

전문적 지뢰제거 전담 조직 필요
노후 장비 교체 및 무인원격 제거 체계도 필요

[이데일리 김관용 기자] 남북은 판문점선언 이행을 위한 군사분야 합의서에 따라 비무장지대(DMZ) 내 ‘태봉국 철원성’ 등 역사유적 공동조사·발굴 사업을 실시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DMZ 내 지뢰제거 문제가 현안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간 평양공동선언의 부속합의서로 채택된 군사분야 합의서는 제2조 4항에서 “쌍방은 비무장지대 안의 역사 유적에 대한 공동조사 및 발굴과 관련한 군사적 보장대책을 계속 협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남북 군사당국은 역사 유적에 대한 공동 조사 및 발굴과 관련해 지뢰제거와 출입 및 안전보장 등 군사적 보장대책을 마련한다는 구상이다.

우리 군 중부전선 철책 인근에서 촬영한 비무장지대(DMZ) 모습이다. 1100여년 전 궁예가 태봉국 도성을 만든 곳으로 지금은 수풀만 보일 뿐 흔적 조차 희미하다. [사진=이데일리DB]
궁예도성을 의미하는 태봉국 철원성은 오른쪽으로 약간 기울어진 사각형 형태로 각 꼭지점들이 철원 지역 남방한계선과 북방한계선에 맞닿아 있다. DMZ에 꽉 끼인 모양새라는 얘기다. 현재 군사분계선(MDL)을 중심으로 정확히 반쪽은 남한으로, 또 다른 반쪽은 북한으로 양분된 형국이다. 현재는 태봉국 철원성이 있었다는 흔적만 있을 뿐 그 모습은 찾아 볼 수 없게 크게 훼손된 상태다. 일제 강점기 시절 일본이 북부지방 물자를 일본과 서울 지역으로 반출하기 위해 경원선 철도를 부설하면서 도성 동쪽을 위아래로 통과시킨 때문으로 보인다. 현재 철도는 모두 제거되고 철도 제방만 남아 있다.

경기문화재연구원 등에 따르면 1910년대 제작된 일제시대 지도에는 궁예도성의 직사각형 윤곽이 뚜렷하게 나타나 있다고 한다. 특히 일제 강점기의 ‘조선보물고적 조사자료’와 ‘조선고적도보’에 따르면 내성 안 북쪽에 궁궐터인 포정전지와 당시 국보118호로 지정된 석등, 그리고 외성 남벽의 남대문지와 석탑, 돌거북 비석 받침돌인 귀부 등이 있었다. 지금은 수풀 속에 가려져 있거나 6·25 전쟁 통에 파괴됐을 것이라는게 문화재청 추측이다.

이번 합의에 따라 남북은 태봉국 철원성에 대한 공동 조사·발굴을 진행한다는 계획이지만, 문제는 지뢰다. DMZ는 말 그대로 ‘지뢰밭’이다. 남북한 군이 6·25 전쟁 이후 첨예하게 대치하면서 지상에 뿌리거나 땅속에 매설한 결과다. 우리 군이 매설한 지뢰는 M-14 및 M-16 대인지뢰와 M-15 대전차 지뢰다. 국방부에 따르면 우리나라 지뢰지대는 총 1290여개소다. 면적은 약 112㎢로 안양시의 두 배 규모다. 이중 확인된 지뢰지대는 1070여 개소 약 18㎢ 정도다. 미확인 지뢰지대가 220여 개소 약 94㎢나 된다.

특히 DMZ 내부에서만 확인된 지뢰는 493개소에 40여만발이다. 하지만 지형변화와 유실 등으로 기설치 된 지뢰가 많은 이동이 있었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향후 미확인 지뢰지대가 큰 폭으로 증가될 것으로 전망된다. 게다가 DMZ 내에는 북한군 지뢰도 수두룩하다. 북한군 대인지뢰는 목함(PMD-57)·수지재(PMN)·강구(BBM-82) 지뢰와 ATM-72·ALM-82 대전차 지뢰 등으로 알려져있다. 이는 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휴대용 장비로 탐지가 어렵다. 목재와 플라스틱 등 비금속 지뢰이기 때문이다.

앞서 남북은 지난 2000년 정상회담 이후 경의선과 동해선 철도 연결에 앞서 DMZ 일대의 지뢰제거 작업을 진행한바 있다. 경의선 지뢰제거 작전의 경우 85만㎡의 면적에 2개 공병대대를 투입해 14개월 동안 진행됐다. 동해선 역시 1개 공병대대를 투입해 13만㎡에 대한 지뢰제거 작전을 실시해 6개월만에 작업을 마무리했다. 이를 통해 지뢰 및 폭발물 5000여발을 제거했다.

방대한 DMZ 지뢰제거 소요에 따라 현실적으로 군의 역량만으로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과거 민간의 지뢰제거를 허용하는 ‘지뢰제거업법’ 제정이 추진된바 있으나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국가책무와 시장성 등의 이유로 반대해 무산됐다.

군 당국은 전문적인 지뢰제거를 위한 전담조직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광범위한 지뢰제거 소요 고려시 장기적이고 연속적인 조직체가 있어야 한다는 얘기다. 신규 장비 도입 필요성도 제기된다. 기존에 투입됐던 해외구매 장비는 현재 폐기된 상태로 최신 지뢰제거 장비를 구매해야 하는 상황이다. 또 지뢰제거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무인원격 제거 체계를 도입하고, 드론을 활용한 신기술 도입도 검토해야 한다. 현재 개발 중인 장애물 개척 전차의 조기 전력화와 투입되는 건설장비의 방탄화도 필요하다.

군 관계자는 “지뢰제거 소요 기간은 가용한 공병부대를 모두 투입한다고 해도 상당히 장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효율적인 지뢰제거 방안 연구를 통해 장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지뢰제거 기간을 단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