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 김정남 기자] 지난 21일 밤, 저는 전날 과음에 지쳐 일찍 잠들었습니다. 그러기를 몇 시간 후. 22일로 넘어가는 새벽 12시30분께 전화가 계속 걸려왔습니다. 주말 밤인데 이상하다 싶었지요. 이미 한 후배에게 2~3통의 전화가 와있었습니다.
저는 기어들어가는 낮은 목소리로 “왜?”라고 물었는데, 그 후배는 다급했습니다. “선배, YS(김영삼 전 대통령)가 서거했답니다. XX선배(사회 데스크)께도 말씀드렸습니다.” “그게 무슨 소리냐.” “저는 지금 병원 갑니다.” 그제서야 정신이 번쩍 들었고, 수소문해보니 사실이었습니다. 곧바로 다른 선배들에게서도 전화가 밀려들어왔습니다.
◇검푸른, 그리고 드넓은 그 기운의 바다
그 새벽 3시간 가까이 정신없이 기사를 넘긴 뒤, 저는 문득 그 시절 그 바다가 떠올랐습니다. 저는 어릴적 10년 가까이 거제에서 살았습니다. 그때가 참 행복했는지 거제를 지금도 ‘마음의 고향’으로 여깁니다. 아버지 어머니께는 경상도 사투리를 쓸 정도로 알게모르게 몸에 밴 곳이기도 합니다.
당시 저희 집에서 차로 10~20분 거리였던 ‘대계마을(김영삼 전 대통령의 생가가 있던 곳)’을 알지 못했습니다. 1992년 혹은 1993년으로 기억합니다. 대계마을이 갑자기 유명해졌고 저도 처음 그 존재를 알게 됐습니다.
수영을 좋아했던 저는 생가보다 그 앞 바다를 더 사랑했습니다. 대계마을에서 조금 떨어진 덕포해수욕장보다는 훨씬 작고 수심도 깊어 수영하기 애매했지만, 그래도 아기자기한 몽돌이 깔려있는 그 바다가 저는 좋았습니다. 커다란 바위들 사이로 마치 ‘비밀장소’처럼 숨어있던 곳이었습니다. 아버지는 그때마다 이런 말씀을 해주셨습니다. “이곳이 김영삼 대통령이 어릴 때 맨날 수영하던 곳이란다.” 그 바다는 유명한 해수욕장에 비해 인적은 드물었지만 그래서 더 아득하고 드넓은 바다를 볼 수 있었습니다. ‘소년 김영삼’은 바다를 보며 어떤 생각을 했을까요. 일제시절을 경험한 YS가 통영중 재학시절 한인을 차별하는 일본인 교장을 골탕 먹였다고 하니, 대강 짐작은 됩니다.
요즘도 몇 년에 한번은 거제, 특히 제가 살던 옥포에 꼭 갑니다. 남해 바다는 시원합니다. 강한 짠내가 코를 때리는데, 그 기운이 호탕합니다. 거제대교를 건너면서부터 그 너른 바다가 한 눈에 들어오지요. 햇볕이라도 내리쬐는 날이면 반짝반짝 강한 빛이 바다를 감쌉니다.
남해와 서해는 냄새가 다릅니다. 저는 공교롭게도 청소년기 일부를 DJ(김대중 전 대통령) 임기 초 목포에서 보냈습니다. DJ의 정치적 고향인 그곳 말이지요. 이사를 간 후 회도 먹을겸 목포항에 가봤습니다. 가장 먼저 다가왔던 게 잔잔한 그 느낌이었습니다. 거제 바다, 혹은 부산항과는 또다른 풍경이었지요. “목포가 원래 전국 5대 도시였당께. 호남 들어오는 건 다 여기로 들어왔어. 이리 쪼그라들줄 몰랐제.” 그때 어르신들에게 이런 얘기를 참 많이 들었던 것 같습니다. ‘예향’ 목포는 더 뻗어나가지 못하고 울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DJ의 고향은 목포와 가까운 신안의 한 작은 섬(하의도)이라는 걸 처음 알게 됐습니다. 하의도는 토지수탈에 저항한 역사가 있는 곳이라고 합니다. 그 작은 섬의 바다 역시 멀고 아득했습니다. 남해와는 또다른 냄새의 강한 짠내였지요.
◇YS와 DJ의 유산 발전시켜야 할 키즈들
어느 정치 전문가는 현대사를 수놓은 불세출의 영웅 YS와 DJ를 두고 ‘바다의 기운’을 얘기했습니다. 어릴 적부터 검푸른 파도를 보고 자라 지도자의 정열이 넘쳐난다는 것이지요. 어린 YS와 DJ도 그 바다를 보고 또 봤을 겁니다. 다른듯 같고, 같은듯 다른 그 바다 말이지요.
저도 이제 그 너른 바다를 큰 마음 먹어야 내려가서 볼 수 있습니다. 그만큼 세월이 지났을까요. YS와 DJ는 감히 넘볼 수 없을 정도로 강한 카리스마를 내뿜었는데, 이제는 지도자급이 된 그 정치 문하생들은 ‘춘추전국시대’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포스트 YS, 포스트 DJ는 없다고 봐야 겠지요. 박정희 전 대통령과 특수관계인 박근혜 대통령이 마지막 카리스마형 정치인이라는 얘기도 많습니다.
민주화가 절실했던 그 시절, 두 영웅이 싸우던 방식은 시대가 원하는 것이었지요. 그러면서도 이들은 ‘정치가 살아있는’ 기본을 지켰습니다. 민주화추진협의회가 그 결실입니다. 지금도 많은 현역 정치인들은 민추협 시절 상대를 인정하는 그 정치의 본질을 그리워하지요. 극한 대립으로 정치의 비용을 높이는 게 요즘 국회입니다. YS DJ 키즈들은 두 거인의 유산을 계승 발전시켜야 합니다. 다양성 다원화의 시대, 협력정치가 그 첫 손에 꼽힌다고 봅니다. 하늘나라로 간 YS와 DJ도 그걸 원할 겁니다.
굴곡진 현대사의 한 페이지가 넘어갔습니다. 두 거인의 위대함을 느끼며 새삼 대계마을과 하의도의 그 바다가 그리워집니다. 수십년 전 놀았던 그 검푸른 바다도 이제는 잔잔하게 웃고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독자 여러분의 의견을 기다립니다. 여야 정치권의 정쟁 혹은 정책을 보고 궁금한 점이 있으면 jungkim@edaily.co.kr로 보내주세요. 부족하지만 최대한 답변 드리겠습니다.>
▶ 관련기사 ◀
☞ [여의도 정책 다시보기]서울시 청년수당發 복지논쟁이 건강한 이유
☞ [여의도 정책 다시보기]'늙어가는 도시' 대구는 분노하고 있다
☞ [여의도 정책 다시보기]국회의원이 지역예산에 목 매는 몇가지 이유
☞ [여의도 정책 다시보기]누리과정 힘겨루기에 워킹맘은 웁니다
☞ [여의도 정책 다시보기]어떻게 하면 둘째를 낳겠느냐고요?
☞ [여의도 정책 다시보기]갑작스런 이념전쟁, 왜 지금인가
☞ [여의도 정책 다시보기]전환기 한국경제, 朴정부 시간이 없다
☞ [여의도 정책 다시보기]'국가'는 없고 '지역'만 판치는 국회
☞ [여의도 정책 다시보기]힘없는 비례대표는 말이 없다
☞ [여의도 정책 다시보기]토요일, 투표하러 갈 의향 있으십니까
☞ [여의도 정책 다시보기]경제가 성장하면 고용 질도 좋아질까
☞ [여의도 정책 다시보기]김무성式 노동개혁에 대한 단상
☞ [여의도 정책 다시보기]국가부도는 정말 '딴 나라' 얘기일까
☞ [여의도 정책 다시보기]노동개혁도 '미봉책' 그치려나
☞ [여의도 정책 다시보기]비례대표를 꾸짖는 정치인들의 속내
☞ [여의도 정책 다시보기]정부실패보다 더 심각한 정치실패
☞ [여의도 정책 다시보기]공무원 철밥통도 불안한 시대
☞ [여의도 정책 다시보기]잊을 만하면 또, 그 이름 법인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