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도쿄게임쇼, 모바일-콘솔 '공존의 길' 찾고 막내리다

류준영 기자I 2012.09.23 13:44:57

모바일게임 미래상 제시…콘솔게임 日게이머들 관심 여전
위메이트 선전…오다 소니 회장 "모바일서 콘솔 이동할것"

[이데일리 도쿄(일본)=류준영 기자] 지난 21일 일본 공영방송 NHK를 비롯한 대부분 오전 생방송 뉴스는 애플스토어 에서 ‘아이폰5’를 기다리는 사람들로 장사진을 이룬 장면을 일제히 보도했다. 같은 시각, 일본 지바현 마쿠하리메세 전시장에서는 ‘도쿄게임쇼(TGS) 2012’가 열리고 있었다. 지난 1996년부터 ‘콘솔게임 메카’로 불리던 게임쇼였지만 스마트폰 게임 열풍은 어김없이 찾아왔다.

세계 3대 게임쇼 중 하나인 ‘도쿄게임쇼’가 지난 20일부터 나흘간의 일정을 끝내고 23일 막을 내렸다. 한마디로 향후 글로벌 게임시장에서 모바일과 콘솔 게임은 공존의 길을 걷게 될 것이라는 점을 확인시켜준 자리였다.

도쿄게임쇼는 지난해 소니와 마이크로소프트가 주도한 ‘체감형 동작 인식 게임’을 화두를 던졌다. 반면 올해 그리(GREE)와 그룹스(Gloops)는 모바일게임을 새 테마로 제시했다. 전시회에 출품된 모바일게임만 대략 265개. 지난해보다 3배 늘었다. 게임 1세대 주역들이 스마트폰·태블릿 게임에게 자리를 양보하면서 세대교체 바람이 거세게 일어나고 있음을 짐작케 했다. 또한 ‘아이폰5’가 일본 스마트폰 보급률(25%)을 얼마나 끌어올릴 지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면서 일본 모바일게임시장의 향후 전망을 밝게 했다.

일본 모바일게임 대표업체인 그리(GREE)는 소니 부스 바로 옆에 가장 큰 사이즈의 부스를 설치하고 33종의 모바일게임을 출품했다. 이중엔 컴퓨터가 없던 시절, 모바일게임의 원조라고도 불리는 ‘다마고치’와 흡사한 소재의 게임들이 스마트기기용으로 나와 참관객들의 시선을 붙들었다.

특히 국내 게임개발사 중 유일하게 TGS에 출전한 위메이드(112040)엔터테인먼트는 자사 스마트폰 게임을 알리는데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일본 게이머들의 취향에 맞춰 기획한 소셜네트워크게임 ‘펫 아일랜드’와 ‘에브리팜2’가 기대 이상으로 선전했다. 또 최초로 공개한 모바일 액션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인 ‘아크 스피어’는 게임을 체험하기 위해 모여든 인파들로 북적거렸다.

최종구 위메이드 온라인 대표는 “일본 온라인게임은 10년이 지나서야 간신히 1400억엔 규모의 시장이 됐지만 모바일게임은 3~4년 만에 4000억엔(한화 약 6조원)으로 커졌다”며 “일본 스마트폰 사용자 80%가 사용할 정도로 친숙한 모바일메신저 ‘라인’을 통해 위메이드 게임을 공급함으로써 단시일 내에 큰 성과를 거둘 것”이라고 말했다.

모바일게임이 강세지만 동시에 콘솔게임에 대한 일본게이머들의 사랑이 여전히 식지 않았음을 확인하는 자리이기도 했다. 소니컴퓨터엔터테인먼트(SCE) 부스에는 플레이스테이션(PS)3를 통한 홀로그램 입체 게임을 즐기려는 참관객과 ‘PS비타’의 새 타이틀을 즐기려는 사람들의 줄이 5~7미터(m)씩 길게 늘어서 콘솔게임의 건재함을 보여줬다. 이와 함께 다음달 3일 출시될 모바일용 PS인 ‘PSM(PS모바일)’도 함께 전시했다. 콘솔과 모바일게임 두 마리를 토끼를 한꺼번에 잡겠다는 각오다.

오다 히로유키 SCE 아시아 회장은 한국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모바일 게임 성장이 전체 게임시장 활성화를 불러온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며 “하지만 모바일게임을 통해 게임의 흥미를 갖게 된 사람들은 한 차원 높은 퀄리티와 몰입도가 높은 콘솔게임을 찾게 돼 이는 곧 콘솔게임 시장 확대로 이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룹스 부스에 한 참관객이 도우미 설명에 따라 모바일게임을 직접 해보고 있다.
▲도쿄게임쇼 2012에 게임개발사로는 유일하게 출전한 위메이드엔터테인먼트 부스. 이번 전시회에서 ‘바이킹 아일랜드’를 비롯한 6종의 신작 모바일 게임을 선보였다.




▶ 관련기사 ◀
☞위메이드, NHN ‘라인’ 타고 일본 열도 공략
☞유기덕 위메이드 부사장 스톡옵션 50억 '대박' 향방은
☞증권사 추천 제외 종목(17일)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