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당선된 이후 모든 게 바뀌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4일(현지시간) 다코타 액세스 송유관 사업과 키스톤 XL 송유관 등 환경파괴 논란이 있던 2대 송유관 신설을 재협상하도록 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원주민 강하게 반발했던 ‘다코타 엑세스’ 재협상
9개월만에 원주민들의 싸움은 물거품이 됐다. 노스다코타에서 일리노이까지 4개주를 가로지르는 ‘다코타 액세스’ 송유관 건설 사업은 노스다코타 북부 바컨 지역에서 생산된 셰일 원유를 송유관을 통해 하루 최대 57만 배럴 규모로 인디애나까지 끌어오는 프로젝트다. 길이 1800㎞, 공사비만 38억 달러(4조2000억원)에 이르는 대규모 사업이다.
다코타 액세스 송유관은 미주리 저수지 335m 구간을 제외하고는 모두 완성됐지만, 원주민 보호구역인 스탠딩 락 구역을 지나가는 게 문제가 됐다. 미국 전역 100여개 원주민 부족과 환경단체 활동가들은 ‘물은 생명이다’라는 구호를 외치며 미주리강과 원주민 보호구역인 스탠딩 락 교차 지점에서 천막시위를 벌였다. 결국 오바마 정부는 문화유적 파괴 우려가 크고 식수원을 오염시킬 수 있다는 이유로 마지막 구간의 건설을 불허하고 다코타 송유관 사업의 포괄적 환경영향평가를 요구했다.
다코타 송유관 프로젝트 사업자인 ‘에너지 트랜스퍼 파트너스’의 켈시 워런 최고경영자는 공화당과 트럼프 선거캠프의 주요 기부자였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 회사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는 미국 언론 보도도 있었다. 트럼프 대통령이 초대 에너지장관으로 내정한 릭 페리는 이 회사의 이사 출신이다. 트럼프 정부의 출범과 동시에 다코타 프로젝트가 다시 시작됐다.
|
트럼프 대통령이 다코타 송유관과 함께 재협상을 명령한 키스톤 XL 송유관도 마찬가지다. 키스톤 XL 프로젝트는 캐나다 앨버타 주에서 생산된 셰일 원유를 미국 텍사스 정유공장까지 연결하는 1800㎞ 길이의 송유관 건설 프로젝트다. 하루 83만배럴 규모의 원유를 송유관을 운반하면 미국의 에너지 자립도가 높아지고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는 의견도 있지만, 지난 7년간 환경 파괴 논란의 중심에 있었다.
환경단체는 셰일 원유가 전통적인 원유생산보다 약 17% 더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원유 운송단가 인하에 따른 사용량 증가로 탄소가스가 더 배출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결국 지난 2015년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은 불허를 최종 결정했다. 당시 오바마 대통령은 “미국은 기후변화에 맞서 진지한 조처들을 취하고 있는 세계 지도자가 됐다. 솔직히 말해 이 프로젝트를 승인하면 미국의 세계적 리더십을 약화시킬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 역시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으로 상황이 달라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재협상을 명령하며 프로젝트의 부활을 알렸다. 부동산 개발업자 출신인 도널드는 기후변화 문제에 대해 “사기”라고 말한 적이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환경 문제를 별로 신경쓰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