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1톤트럭 ‘디젤 천하’ 저물고, LPG·전기차 시대 맞는다

박민 기자I 2023.05.09 08:30:00

현대차 포터·기아 봉고 디젤차량 단산
내년부터 LPG·전기차 모델만 생산
중국업체도 국내 전기화물차 시장 진출
“보조금 혜택에 현지보다 비싼 가격” 논란

[이데일리 박민 기자] 국내 1톤(t) 트럭시장이 ‘디젤(경유) 천하’를 끝내고 액화석유가스(LPG)와 전기차 시대를 맞을 전망이다. 그동안 시장을 평정해온 현대차·기아가 올해 안으로 디젤엔진 생산 라인을 모두 철수하고 내년부터는 LPG와 전기차 모델만 생산하기로 한데 따른 것이다. 신규 수요만 연간 15만대에 달하던 1톤 트럭 시장이 전기차와 LPG 모델로 양분화하면서 시장 재편도 가속화할 전망이다.

9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와 기아는 1톤 트럭 주력 모델인 포터(현대차)와 봉고(기아)의 디젤엔진 생산라인을 올해까지만 가동하고 내년부터는 단산에 들어간다. 디젤엔진 차량의 빈자리는 전기차와 LPG 모델로 채우겠다는 방침이다. 현재 전국 주요 대리점을 중심으로 디젤엔진 차량 단산 전 마지막 계약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번 계약 물량까지만 연내 생산하겠다는 계획으로 알려졌다.

현대차·기아의 1톤 디젤트럭 단산은 내년부터 시행되는 ‘대기관리권역의 대기환경개선특별법(대기관리권역법)’ 개정안에 기인하다. 법에 따르면 내년 1월 1일부터 대기관리 권역 내 어린이 통학버스와 소형택배 화물차의 신규 경유차 등록을 금지한다. 대신 전기차 또는 LPG차 등 친환경차는 허용하기로 했다. 노후 경유차를 퇴출함과 동시에 경유차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 물질을 원천 차단하기 위해서다.

이러한 정부의 움직임에 발맞춰 현대차·기아도 1톤 트럭 디젤엔진 모델 생산을 중단하고 경유보다 대기오염물질 배출이 적은 LPG와 전기차 모델만 출시하기로 한 것이다. 특히 현대차그룹은 글로벌 탈탄소 행보에 맞춰 2년 전 디젤엔진 신규 개발 중단을 선언한데 이어 오는 2028년까지 모든 상용차 라인업을 친환경차로 전환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내년에 출시될 예정인 현대차의 포터 LPG 모델은 21년 만의 부활이다. 현대차는 지난 1996년 포터 LPG를 내놨다가 판매량 저조로 2003년 생산을 중단 한 바 있다. 연료비는 디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했지만 출력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시장에서 외면받았기 때문이다. 신형 포터 LPG모델에는 자동변속기를 부착하고 성능을 높인 직접분사형 신형 터보엔진을 탑재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의 ‘포터2’ 일렉트릭 모델(사진=현대차)
1톤 트럭 모델이 전기차와 LPG로 재편되면서 기존의 디젤엔진 수요가 어디로 갈지도 관심사다. 지난해 말 기준 국내에 등록된 1톤 이하 소형화물차는 총 229만5798대로 이중 디젤(경유)은 217만523대로 전체 94.5%에 달한다. 이어 전기 7만6489대(3.3%), LPG 4만8786대(2.1%) 순이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1톤 화물차 신규 수요는 연간 15만대 규모”라며 “이중 전기차는 정부 보조금 혜택이 커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에 비중이 지난해 17%에 이어 올해 22%로 빠르게 늘고 있다”고 말했다.

국내 1톤 트럭 시장이 새로운 전기를 맞으면서 중국 업체들도 국내 시장에 깃발 꽂기에 나섰다. 중국의 BYD(비야디)는 올해 초 1톤 전기트럭 ‘티포케이(T4K)’를 출시해 현대차·기아에 도전장을 낸 상태다. 특히 중국의 경우 지난해를 끝으로 전기차 보조금을 모두 폐지하면서 중국 전기차 제조사들은 아직 보조금 혜택이 남아 있는 나라로 진출을 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전기 화물차에 대해 정부 보조금에 지자체 보조금까지 포함해 최대 2100만원을 지원한다.

다만 일각에서는 전기 화물차에 대해 자국 기업과 외국 기업간 보조금 차이를 둬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국내에서는 전기차 보조금 혜택이 주어진다는 점을 노려 중국 현지 모델보다 가격을 비싸게 책정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BYD의 티포케이(T4K)는 중국 현지에서는 전기차 핵심부품인 배터리를 ‘삼원계’라 불리는 NCM(니켈·코발트·망간) 배터리를 쓰지만, 국내 모델에는 이보다 원가가 훨씬 저렴한 LFP(리튬·인산·철) 배터리를 채택하면서도 판매가격은 현지(4200만원)보다 비싼 4669만원으로 책정했다.

니켈·코발트·망간(NCM) 배터리가 적용된 비야디(BYD) 중국 현지모델 ‘티포케이(T4K)’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