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는 이날 “지난 9일 일본 혼슈 시마네현에서 6.1 규모의 지진이 발생했고, 우리나라도 지난 2016년~2017년 경주와 포항의 잇따른 지진으로 시설물 내진 성능 보강이 중요해진 만큼 공공시설물 내진율을 2020년까지 80.2%로 끌어올리기 위한 ‘서울시 지진안전종합대책’을 마련하겠다”며 “3년 간 총 2819억원의 예산을 투입할 방침”이라고 이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이번 지진안전종합대책은 △공공시설물 내진 보강 강화 △민간건축물 내진 성능 점검지원 체계화 △지진 등 재난피해자 심리 지원 강화 △체험형 훈련 및 교육시설 확대 등 4개 과제로 구성됐다.
2018년 현재 서울시 내 공공시설물 총 3431곳 중 내진 성능이 확보된 시설물은 2144곳(62.5%)에 그친다. 서울시는 이를 2020년까지 80.2%(2750곳)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기존에 내진 성능이 확보된 수도시설, 공동구, 시립병원 등 외에 공공건축물과 도시철도, 도로시설물, 하수처리시설의 내진율을 높이는 것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시 소관 공공건축물의 내진율은 634개소 중 389개소(61.4%)다. 서울시는 709억원을 투입, 134개소에 내진 보강 공사를 실시해 공공건축물 내진율을 82.5%까지 올릴 방침이다.
아울러 자치구 소관 공공건축물 1401개소 중 내진성능이 확인되지 않은 624개소에 125억원을 투입해 내년까지 내진성능평가를 완료한다.
교량과 지하차도 등 도로시설물은 487억원을 투입해 85.2%에 달하는 내진율을 내년까지 100% 보강 완료할 계획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내진율이 31.3%(3520동 중 1100동)로 저조한 학교 시설은 교육청과 지속적으로 협조해 2020년까지 48.4%로 끌어올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민간건축물의 경우, 내진설계가 도입(1988년)되기 전에 건축된 곳들이 많아 내진율이 18.2%(내진 의무 대상 건축물 수 기준)로 가장 낮다. 서울시는 이를 중앙부처와 협의해 내진보강 공사비 보조금을 지원하고 건축물대장에 필로티 구조 건축물 등록 의무화 등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지진선진도시의 정책 도입 및 지진방재 전문가 교류를 위해 서울-도쿄 지진담당 공무원의 단기연수 및 파견, 교환근무 등도 시행해나갈 계획이다.
고인석 서울시 안전총괄본부장은 “경주, 포항 지진으로 이제 우리나라도 지진으로부터 안전하지 않다는 걸 실감했다”며 “시설물의 내진율을 우선적으로 높여 안전성을 유지하고 지진 발생시 실생활에서 시민들이 대응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을 확대해나갈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