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기업 75% "한·중 FTA로 中 공략 돌파구 기대"

박철근 기자I 2014.11.30 11:00:00

화장품·패션·의료 바이오 등 혜택 기대
응답기업 10곳 중 7곳은 ''FTA 활용계획 미수립''
중국시장 정보제공 강화 요구

[이데일리 박철근 기자] 국내기업 10곳 중 7곳이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이 중국 시장을 공략할 수 있는 돌파구가 될 것으로 기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화장품, 패션, 의료 및 바이오 등의 업종의 혜택이 클 것으로 예상했다.

30일 대한상공회의소가 한·중 FTA가 타결된 직후 국내기업 700곳을 대상으로 ‘한·중 FTA 타결과 국내기업의 대응실태’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기업의 75.0%가 ‘중국시장 공략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것’이라고 답했다.

특히 중국과 거래가 없는 내수중심 기업 335사 중 56.7%는 한·중 FTA를 계기로 중국과의 교역을 추진할 것이라고 답해 국내기업의 중국진출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FTA 타결에 따른 수혜 여부에 대한 질문에는 ‘혜택이 예상된다’는 답변이 51.7%로 타격이 예상된다(7.4%)보다 월등하게 높았다. 반면 ‘아직 잘 모르겠다’는 신중론도 40.9%나 돼 추후 협상 세부내용에 따라 업종간 이해득실이 갈릴 것으로 보인다.

업종별로는 ‘화장품·패션’이 60.0%로 가장 혜택을 많이 볼 것으로 예상했다. 이어 △의료바이오(57.7%) △음식료(53.6%) △금속·철강(50.0%) 등의 순이었다.

한·중 FTA가 가져올 효과로는 ‘비관세장벽 완화, 지적재산권 보호 등 현지애로 해소’(34.4%)가 가장 많았으며, △관세철폐에 따른 가격경쟁력 제고(32.3%) △일본 등 경쟁국보다 유리한 수출여건 확보(14.3%) △중국과 무역분쟁시 해결절차 마련(12.6%) △중국진출을 겨냥한 해외기업의 투자유치(6.4%) 등으로 나타났다.

대한상의 자문위원인 송유철 동덕여대 교수(국제경영학)는 “한·중 FTA가 한·미, 한·EU FTA 보다 낮은 수준으로 타결됐지만 중국의 빠른 성장세를 감안하면 경쟁국과 앞서 체결한다는 것은 큰 강점”이라며 “FTA라는 첫 단추가 꿰어진 만큼 개선된 비즈니스 환경을 잘살려 중국시장 선점의 호기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대한상공회의소 제공
이러한 혜택 기대감에도 불구, 국내 기업 대부분은 한·중 FTA 활용계획을 아직 수립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FTA 활용계획 수립여부를 묻자 ‘수립했다’고 답한 기업은 1.7%, ‘현재 수립 중이거나 앞으로 착수할 계획’이라는 기업도 29.1%에 그쳤다. 준비를 하지 못한 기업(69.2%)들은 ‘국회 비준시기의 예측불가능’(38.3%), ‘중국시장의 빠른 변화’(28.0%), ‘내부역량 부족’(20.5%) 등을 이유로 꼽았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한·중 FTA 발효까지 가서명, 정식 서명, 국회비준의 절차가 남은 가운데 국회 비준이 가장 큰 관문이 될 것”이라며 “발효가 언제될 지 알 수 없는 상황에서 기업이 자금과 인력을 투자해 세부전략을 세우는 것은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기업들은 이번 조사에서 한·중FTA 활용을 위해 중국시장에 관한 정보제공이 강화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중FTA 활용의 애로사항으로 응답기업들은 ‘중국시장 관련 정보 부족’(29.3%), ‘중국진출 노하우나 네트워크 부족’(26%), ‘원산지 증명 및 관리 애로’(24.3%), ‘중국어, 관세 등 전문인력 부족’(20.3%) 등을 차례로 지적했다.

정책과제로는 ‘현지상황 등 정보제공 강화’(34.6%)를 가장 많이 꼽았고 △수출마케팅 지원 확대(24.1%) △연구개발 지원(19.6%) △피해대책 확충(11.3%) △활용컨설팅 제공(10.3%) 등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전수봉 대한상의 조사본부장은 “추후 최종 협상내용을 살펴봐야 알겠지만 한·중 FTA 성공여부는 근본적으로 기업 스스로의 노력에 달렸다”며 “기업들은 상품의 고부가가치화, 중국소비재 시장공략, 서비스시장 진출 활성화 등의 방안을 마련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는 국회설득, 피해산업에 대한 효과적인 지원은 물론 기업이 역량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규제개혁을 통한 투자환경개선, 서비스산업 육성 그리고 성장잠재력 확충에 힘써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