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aily] 5일 정부 당국이 코스닥시장 활성화대책을 내놓았다. 침체국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코스닥의 회생을 위해 수급불균형을 개선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기관에 대해서도 등록후 1개월간 보유물량 매각을 제한하고 해외 CB 및 BW의 주식전환을 1년간 금지하는 한편 부실기업의 퇴출을 강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하지만 코스닥시장의 가장 큰 문제점은 불투명성과 함께 신뢰를 잃은 데 있다며 새로운 제도가 실효성을 얻기 위해서는 퇴출 등에 대한 정책 당국의 강력한 의지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대우증권 이종우 팀장 = 이번 당정회의에서 나온 대책 중 우량기업은 지금보다 진입이 쉽도록 하고, 부실기업은 조기에 퇴출되도록 등록·퇴출제도를 개선하는 데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코스닥시장의 변동성이 크고 이용호 사건에서 볼 수 있듯이 투자에 대한 기대에 부응하지 못해 투자자들은 투기적인 입장에서 코스닥시장에 접근하고 있다. 따라서 코스닥의 근본적인 문제는 신뢰성의 부재이며 퇴출 강화를 정부가 어느 정도의 의지를 가지고 실행에 옮기느냐가 관건이다.
이밖에 다른 대책들은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는 없다. 기관투자자에게 지분매각제한 기간을 적용해도 어짜피 기간이 지나면 물량을 내놓을 것이고 벤처캐피털의 지분매각제한기간 완화 역시 현재 시장구조상으로는 효력이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정윤제 대신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 = 일단 현재 코스닥시장의 가장 큰 관건이 투자심리 안정과 수급 조정이라고 볼 때 이번 안정화 대책은 일정 부분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어차피 3분기와 4분기에 기업들의 실적이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나쁘게 나올 가능성이 있는 마당에 지금부터 준비가 필요한 상황이었다.
다만 지금까지 이같은 방안이 거론되지 않았던 것은 아니라는 점에서 제도를 얼마나 실효성 있게 통제할 수 있느냐가 향후 관건이 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을 경우 심리적인 안정 정도에 그칠 것이다.
또한 보다 근본적으로 코스닥시장의 수급상 가장 큰 문제가 되고 있는 공모제도에 대한 손질 없이 간접투자니 하는 대책은 효과가 떨어질 수 밖에 없다는 점도 간과해선 안될 것이다.
◇박동명 신한증권 과장 = 등록후 기관의 매각을 금지키로 한 점은 신규기업들의 수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눈길이 가는 부분은 코스닥펀드의 동일종목 투자한도 완화이다.
이는 두가지 점에서 의미가 있다. 우선 사모M&A펀드와 같이 M&A에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또 우량기업에 대한 편입비중을 높일수 있다는 측면에서도 긍정적이다. 이 경우 지수관련주들이 수혜를 입을 것으로 보인다.
전날 코스닥시장이 거래소에 비해 상승률이 높았던 점도 이러한 기대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퇴출제도 방안에 대해서는 다소 중기적인 차원에서 지켜볼 일이다. 더구나 퇴출의 경우 개인투자자들의 이해가 얽혀 있어 이들의 저항 등 마찰도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제도 변화가 코스닥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만 기조는 미국 경제에 제약을 받을 수 밖에 없으며 반등 분위기가 이어진다면 상승탄력을 높이는 쪽으로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교보증권 최성호 책임연구원 = 이번 대책의 요점은 퇴출을 강화해 수급부담을 덜어준다는 데 있다. 이번에 퇴출 요건을 강화한 것은 매우 적절하며 시기적으로는 오히려 늦은 감도 있다.
현실적으로 당장 수급에 도움을 주는 문제는 아니지만 앞으로 기대를 해볼 만하다. 그러나 정부가 인위적으로 수급을 조절하는 것은 쉽지 않은 것이며 정책당국은 수급작용이 원활하게 도와주는 데 머물러야 한다는 점은 늘 기억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