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번은 1761년 현재의 북아일랜드 시골 지역에서 말단비대증을 가지고 태어났다. 말단비대증은 성장 호르몬의 과다 분비로 인해 손, 발, 코, 턱, 입술 등 신체의 말단이 비대해지는 만성 질환이다.
그는 자신의 큰 키를 이용해 생계를 꾸렸다. 20세이던 1781년 런던으로 건너간 그는 스스로 ‘아일랜드 거인’이라고 소개하며 큰돈을 벌고 유명인이 됐다. 하지만 1783년 22세의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많은 사람들은 번이 살아 있을 때부터 그의 유골 확보에 관심을 보여왔다. 이에 번은 자신이 죽으면 시신을 무거운 관에 넣어 바다 아래로 가라앉히는 수장(水葬)을 치러 줄 것을 주변에 부탁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번의 소원은 이뤄지지 않았다. 당시 영국의 외과의사이자 해부학자였던 존 헌터는 번의 친구들에게 500파운드를 지불하고 시신을 빼돌렸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번의 골격은 런던 레스터 광장에 있는 헌터의 저택에 전시됐다. 번의 유골은 현재에 이르기까지 연간 8만명의 관람객이 찾는 헌터리언 박물관의 대표적인 컬렉션으로 자리매김했다.
다만 뒤늦게 고인의 뜻이 알려지면서 유지를 거스르는 유골 전시가 윤리적으로 올바른지에 대한 논란이 불거졌다. 이에 최근 박물관 신탁위원회는 수리 작업으로 5년째 휴관 중인 박물관이 오는 3월 재개관할 때부터 더는 번의 유골을 전시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헌터리언 박물관의 상급기관인 잉글랜드 왕립의과대학(RCS)의 던 켐프 이사는 “역사적으로 벌어진 일과 헌터의 행동은 잘못됐다”며 “번의 해골을 전시에서 빼는 것이 잘못을 바로잡는 시작”이라고 지적했다.
번의 유골이 앞으로 어떻게 처리될지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그의 유해를 고향인 북아일랜드로 돌려보내 매장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는 반면 연구를 위해 유골을 보존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번의 이야기를 소설로 썼던 작가 힐러리 맨틀은 “이 뼈로 과학이 얻을 수 있는 것은 다 얻었다”며 “그를 영면에 들게 해주는 것이 명예로운 일”이라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