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대손부담·부실 우려 과도…반등 기대"

김인경 기자I 2022.07.12 08:29:40

DB금융투자 보고서
2008~2012년은 부동산PF 비중 커
현재 건전성 및 자본적정성 수준 안정적

[이데일리 김인경 기자] DB금융투자는 연체율 우려로 은행주가가 과도하게 급락했다며 시장 안정을 찾는 과정에서 반등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12일 이병건 DB금융투자 연구원은 “감독정책과 은행들의 노력으로 은행의 건전성과 자본적정성은 근본적으로 달라졌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최근 감독당국이 손실흡수능력을 높이기 위해 추가 충당금 적립을 권고했는데 단기 실적 영향은 확실히 부정적”이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비용처리가 두 번 이뤄질 수 없는 만큼, 건전성 악화를 우려한 대손 비용 인식은 선제적이라는 설명이다.

이어 그는 “법인세 효과를 감안하면 부담도 크지 않다”면서 “부실에 대해서는 연체율이, 그리고 연체율에 대해서는 신용카드 이용금액 증가율이 선행지표로 작용할 수 있다”면서 “주가 측면에서 대비할 시간은 충분하다”라고 강조했다.

최근 금리인상에 따른 은행권의 대손 부담 우려가 가중된 바 있다. 실제 지난 2008~2012년 2%포인트 가량 기준금리 인상이 이뤄졌던 점을 감안하면, 당시 부실채권(NPL) 비율이 1.5%포인트 가량 상승했다. 그는 “이 경우 대손 비용율이 70bp(1bp=0.01%포인트) 내외 추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일반 은행으로는 10조~14조원 수준”이라며 “일반은행 기준 연간 세전이익에 해당하는 규모”라고 지적했다.

하지만 그는 “당시 문제의 핵심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대출이었다”면서 “부동산 PF대출은 2006년말 25조9000억원에서 2009년 6월 54조1000억원까지 급증했고, 2011년 3월 은행의 부동산 PF 대출 부실채권 비율은 18.35% 수준까지 높아진 바 있다”고 말했다.

그는 “당시 부동산 PF대출은 대부분 중소기업 대출로 분류됐는데 가계대출 연체 상승도, 벽산건설 등 건설사 도산과 맞물린 집단 대출 연체 영향이 컸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최근 은행들의 부동산 PF대출은 주로 증권사를 통한 유동화 증권 발행으로 전환됐고 가계 및 소호대출의 경우, 심사가 강화돼 왔다. 이 연구원은 “지금은 은행이 부동산PF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크지 않고 집단 대출 취급 추이도 과거와 다르다”면서 “자영업자 및 가계대출에는 연체율과 소비동향이라는 선행지표가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