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안성에 위치한 마스크 생산업체 A사 관계자는 정부가 오는 2일부터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를 공식 해제한다고 발표하자 “주변에 폐업을 하거나 휴업인 마스크 업체들이 대다수다. 우리도 그나마 명맥만 유지하고 있었는데, 이제는 도산하는 마스크 업체가 줄을 이을 것”이라고 토로했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지난달 2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하고 오는 2일부터 실외에서의 마스크 착용의무를 해제한다고 밝혔다. 다만 밀집도 등 이용 행태에 따른 감염 위험을 고려해 50인 이상이 참석하는 집회와 공연, 경기 관람 시에는 착용 의무를 유지하기로 했다.
지난 2020년 10월 13일 마스크 의무 착용 이후 566일 만에 실외에서 마스크를 벗게 됐다. 지난 2년간 마스크가 일상 필수품으로 자리를 잡으면서 다양한 색상과 기능을 가진 마스크가 속속 등장했다. 심지어 유명 연예인을 앞세워 마케팅 활동에 나서기도 했다.
하지만 우후죽순 생겨난 업체로 마스크 공급이 포화 상태에 이른 상황에 실외 마스크 해제까지 더해지면서 마스크 업계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시중에 마스크 재고가 넘치면서 심지어 온라인에서는 100원대 마스크까지 등장한 상황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2020년 1월 137개였던 국내 마스크 업체는 지난 4월 기준 1683개로 10배 이상 늘었다.
코로나19 사태 초기인 2020년 2월 ‘마스크 대란’이 일어나면서 식약처가 마스크 생산업체에 내주는 허가 절차 기간을 대폭 줄였기 때문이다. 마스크 업계 관계자는 “과거 식약처 기준을 맞추려면 공장을 리모델링하는 데만 한달 반 걸리고, 허가를 받아 생산하기까지 6개월 이상 걸렸다”며 “공적 마스크 제도를 도입하면서 허가를 2주 안에 다 내줘 마스크 업체가 무작위로 생겨났다. 긴급 승인을 빨리 끊었으면 이렇게까지는 안 됐을 것”이라고 한탄했다.
특히 마스크 제조 특성상 설비만 갖추면 생산량을 금방 늘릴 수 있어 공급이 빠르게 증가했다는 설명이다. 그는 “마스크 설비 한대를 8시간만 돌려도 평균적으로 2만장에서 2만 5000장을 만들 수 있다. 한 달에 20일만 돌려도 설비 한대에서 40만~50만장이 나온다”며 “업체가 이렇게 많아지다보니 이미 국내 마스크 수요를 넘어선 상황이다. 기존 마스크 업체들도 힘든 상황이지만, 코로나19 이후 뛰어든 업체들은 생산량이 더 빨리 줄고 있다”고 말했다.
문제는 업체가 너무 많아지다 보니 식약처에서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고, 여기에 무허가 업체들까지 난립한다는 점이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식약처가 정기 감사, 수시 감사를 진행해야 하는데 인력에 한계가 있고 어떻게 할 수 있겠나”라며 “원단을 받아 제조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원가가 정해져 있는데, 100원대 마스크가 나올 수는 없다. 이는 재고떨이나 무허가 업체에서 만든 물량이라고 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코로나19 이후에 뛰어든 업체들은 대부분 올해 하반기 공장 임대차 재계약 기간에 돌입할 것”이라며 “실낱같은 희망으로 재계약 기간까지 버텨왔던 업체들 중에 문을 닫는 곳이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