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회장은 이날 입장문을 통해 “광복회는 수상자를 선정할 때 정파성에도 좌우이념에도 얽매이지 않는다”며 “광복회의 수상자 선정 기준은 명료하다”고 강조했다. 독립운동정신의 선양에 기여한 인사를 선정하고 친일비호 인사는 배제한다는 설명이다.
그러면서 김 회장은 “친일재산 국가귀속법 제정에 반대한 정치인에게 광복회가 상을 줄 수 있을까, 일제에 빌붙어 독립군 학살에 앞장선 자를 영웅이라고 칭송하는 자에게 광복회가 상을 줄 수 있을까, 친일인사의 국립묘지 안장을 주장하는 정치인에게 상을 줄 수 있는가, 친일을 미화한 역사교과서를 학생들에게 가르쳐야 한다는 정치인에게 광복회가 상을 줄 수 있는가, 국민들이 ‘토착왜구’라고 지칭하는 정치인에게 광복회가 상을 줄 수 있을까”라고 되물었다.
이어 그는 “특정 정당 소속 정치인이 왜 배제됐느냐는 주장은 억지일 뿐”이라며 “이는 같은 조선인인데 왜 간도특설대 출신에게는 독립유공자 훈장을 주지 않느냐고 트집 잡는 것과 같다”고 지적했다.
|
최재형 상은 러시아에서 항일투쟁을 펼친 독립운동가 최재형 선생을 기리기 위해 광복회가 지난해 제정한 상이다. 그러나 이번 수상자 선정 과정에서 광복회가 최재형기념사업회와 협의를 하지 않아 논란이 일었다. 문영숙 최재형기념사업회 이사장이 공개적으로 문제를 삼기도 했다.
게다가 해당 상을 특정 정당 정치인들이 수상하는 점도 비판을 받았다. 실제로 지난해 5월과 12월 각각 고(故) 김상현 의원과 유인태 전 국회사무처장이 최재형 상을 받았다. 광복회는 김 회장 취임 이후 최재형 상 외에도 신채호 상, 이육사 상 등 7개 상을 제정했다. 총 85명의 수상자 중 더불어민주당 소속이거나 한때 당적을 보유했던 이들이 26명에 달해 ‘정치적 편향성’ 논란이 불거졌다.
하지만 김 회장은 “광복회의 수상자 선정에는 광복회의 확고한 기준이 있다”며 “항일 독립운동정신이고, 헌법에 명시된 3.1운동과 임시정부의 법통을 이어 받는 정신”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적당히 정파적 이해에 맞춰 수상자를 안배한다면, 이야말로 선열들의 정신을 훼손하는 것”이라면서 “앞으로도 광복회는 이런 원칙을 굳건히 지킬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