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역버스는 시스템과 요금 측면에서 넘어야 할 숙제들이 산적하다. 기후동행카드는 서울 시내버스나 지하철 금액을 기반으로 가격을 책정했으므로 한 번 탈 때 3000원가량을 내야 하는 광역버스에 직접적으로 적용하기는 무리가 있다.
때문에 별도의 이용권을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그러나 가격은 물론 광역버스를 타고 내릴 때만 적용할지, 광역버스에서 내려서 이동하는 데에는 어떻게 연계할지 등 고민해야 할 점이 많다. 이용권을 넘어서 이용한 금액은 지자체가 운송기관에 줘야 하는데 예산 배정도 녹록지 않은 부분이다. 서로 다른 교통카드 사업자 간 시스템을 연계해야 하는 문제도 있다.
이미 기후동행카드에 함께하기로 한 인천시와 김포시 역시 이런 문제로 인해 실제 시행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알려졌다. 아직 업무협약을 맺지 않은 곳 중 광역버스 이용이 많은 지역은 고양시나 성남시, 용인시 등이 거론된다. 전체 수도권 중에서도 서울로 통근·통학하는 인구가 많은 지역으로 꼽히는 곳들이다.
상황을 감안한다면 수도권 지하철을 주로 활용하는 지역의 참여가 비교적 빠를 것으로 예상된다. 시에서는 5호선을 이용하는 하남이나 4호선 진접역이 위치한 남양주 등을 지하철 이용객이 많은 곳으로 파악하고 있다.
지리적 위치도 중요하다. 지하철 사용도 많으면서 이미 서울시와 손 잡은 지자체와 인접해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지역으로는 의왕과 안양 등이 관심을 받는다. 앞서 군포와 과천이 서울시와 업무협약을 맺으면서 경기 남부권의 물꼬를 텄기 때문이다.
주목해야 할 부분은 정치적인 사안이다. 지자체장의 소속 정당에 따라 참여여부가 갈릴 수 있어서다. 실제로 지금까지 업무협약을 맺은 인천시와 김포시, 군포시, 과천시는 모두 오세훈 서울시장과 같은 국민의힘 소속 시장들이 맡고 있다. 안양이나 광명, 부천 등은 지리적으로 밀접하고 지하철 접근성이 좋음에도 시장들이 더불어민주당 소속인 곳들이다.
현재 시는 과천 이후 협력을 맺을 지자체에 대해 공식적으로 언급하지 않고 있지만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 놓고 있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서울로 출·퇴근이나 등·하교하는 수도권 시민을 모두 서울 시민으로 보고 교통정책을 펼치는 게 오 시장의 시정 철학”이라며 “더 많은 곳과 협력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