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9일 이데일리가 신년을 앞두고 부동산 정보업체 및 학계, 건설사 임직원 등 각계 전문가 32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2021년 부동산 전망 설문조사’ 결과 87.5%(28명)가 “내년 서울 및 수도권 집값이 상승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보합’과 ‘하락’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각각 3명, 1명이었다. 지방 집값이 상승할 것이라고 답한 전문가 비율도 59.4%(19명)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집값 상승 배경으로 공급 부족과 전세난을 꼽았다. 내년 서울의 입주 물량도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전세가격 상승 및 물량 잠김 현상으로 매매가를 끌어올릴 것이라는 설명이다.
그러면서 전문가들은 내년에 주목할만한 지역으로 과반수(17명)가 강남·서초·송파(강남3구)및 마포·용산·성동구(마용성)을 선택했다. ‘규제지역 포함 수도권’을 지목한 응답자도 40.6%(13명)으로 나타났다. 전국에 걸친 규제지역 지정으로 투자 심리가 수도권으로 회귀할 수 있다고 봤다.
전문가들은 추가 공급대책으로 서울 도심내 ‘재건축·재개발 등 정비사업 활성화’를 제안했다. 공급대책이 부족하다고 답변한 전문가 중 23명(복수응답 가능) 중 85.2%가 이 같이 답변했다. 이어 △그린벨트 해제 등 대규모 택지 개발(29.6%) △도시재생뉴딜사업 등 주거개선 사업(25.9%) 등의 순을 보였다.
|
특히 올해 전국 평균 6.54%(KB국민은행 통계) 오른 전셋값은 내년에도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점쳐져 우려를 낳고 있다. 저금리와 보유세 부담 증가, 새 임대차법(계약갱신청구권·전월세상한제 도입)의 시행으로 내년 서울 전셋값이 오를 것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93.8%(30명)에 달했다. 지방 역시 59.4%(19명)이 전셋값 상승을 예상했다.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장은 “부동산에 직간접인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인은 실물경기·정책·수급·금리 및 유동성·심리·해외 부동산 동향 등 6가지로 정책 기조 외에는 하락 요인보다 상승 요인이 압도적으로 많다”면서 “가파르게 오르는 전셋값도 선행지표로서 매매값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만 내년 6월부터 양도소득세·종합부동산세 등이 강화되면서 다주택자, 법인 물량 중심으로 급매물이 나오면서 하반기부터 부동산 시장이 안정될 것이란 일부 의견도 나왔다. 서원석 중앙대 도시계획부동산학과 교수는 “양도세 강화 등 정부 규제와 강화된 부동산 정책이 내년에도 이어질 것”이라면서 “서울·수도권 집값은 보합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