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비서관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그 노비들은 자유가 없었으며, 여성노비는 외거를 하더라도 양반 주인이 수청을 요구하면 함께 밤을 보내야 하는 처지였다는 것은 역사학계에서는 일반화된 이론이다. 결국 여성인구의 절반이 언제든 주인인 양반들의 성적 쾌락의 대상이었던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
중도입국 자녀 논란과 관련해서는 “중도입국자녀를 받아들인 이유는 재혼 결혼이주여성 중에서 본국에 있을 때, 전 남편과의 사이에서 나은 아이를 어머니 품으로 데려오자는 취지였다”며 “취지는 좋았지만, 결국 중도입국자녀의 대부분은 결혼이주여성이나 한국국적을 취득한 귀화 한국인들의 친인척들”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 비율이 92%까지 되었고, 정작 정확한 의미의 중도입국자녀는 4%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 2015년 계명대 김혜순 교수의 논문 중, 중도입국자녀에 대한 실태조사로 확인됐다”고 했다.
김 비서관은 “도대체 왜 대한민국의 지식인과 언론은 자기만의 도덕적 편견에 사로잡혀, 불편한 진실을 외면하는가”라며 반문했다. 그는 “예전 2차대전 때 영국이 승리한다는 거짓 찬양만 하던 언론들 사이에서 한 언론이 ‘그렇지 않고, 고전 중’이라는 진실을 보도한 덕택에 국민들의 질타가 쏟아지고 영국정부가 심기일전해서 이길 수 있었다는 일화가 생각난다”고 덧붙였다.
김 비서관은 “불편한 진실을 얼굴 붉히면서라도 대할 수 있는 용기가 있을 때 세상은 좀 더 진실해지고, 사람들은 좀 더 자유로워지고, 함께 번영할 수 있다고 믿는다”며 “두려운 것은 사회적, 도덕적 편견에 사로잡힌 사람들, 언론들의 손가락질이 아니라, 안락함을 위해 불편한 진실을 외면하려는 나의 비겁함”이라고 했다.
한편, 전날 KBS는 지난해 미국 하버드대 램지어 교수의 위안부 역사 왜곡 파문이 불거졌을 때, “조선시대 여성 절반이 성노리개였다”라며 “조선시대 노예제도에 대해서도 탐구하고 분노하자”라는 글을 김 비서관이 쓴 것으로 확인됐다고 보도했다. 또 한국인과 재혼한 외국인 배우자가 데리고 들어온 이른바 ‘중도입국’ 자녀들 대부분이 친자녀가 아니라고 했다며 외국인에 대한 분별없는 발언을 했다고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