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硏 "'퍼펙트 스톰' 마주한 세계경제…韓, 경기 경착륙 방어해야"

이윤화 기자I 2022.09.12 11:00:00

현대경제연구원 ''글로벌 5대 리스크 요인 향방과 시사점''
코로나 이후 복합 경제위기 지속, 글로벌 경제 상황 악화
5대 리스크 요인별 선제적 대응책, 신성장 동력 마련 필요

[이데일리 이윤화 기자] 코로나19 위기 이후 스태그플레이션(물가상승 속 경기침체)와 우크라이나 전쟁 등 복합적인 위기가 나타나면서 세계경제가 ‘퍼펙트 스톰(Perfect storm·대규모 경제위기)’에 직면했다. 경제복합 위기를 돌파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도 각 위기별 선제적 대응책을 꾸려 잠재성장 동력을 만들어나가야 한다는 제언이 나온다.



현대경제연구원은 12일 경제주평 ‘세계경제, 퍼펙트 스톰 오는가?’를 발표하고 △세계 경제의 침체(Stagnation) 가능성 증대 △미·중 교역 전쟁(Trade war)의 심화 △오일쇼크(Oil shock) 완화에 대한 기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Russia)의 교착 △미 연준의 급진적 통화정책(Monetary policy) 5개 요인을 대표적 위험요인으로 꼽았다. 각 리스크 요인의 알파벳 첫글자를 딴 ‘스톰(STORM·폭풍)’이 올 하반기부터 내년까지 세계경제의 키워드로 꼽았다.

먼저 세계경제 침체 가능성은 점차 확대되고 있다. 특히 내년 전세계 경제는 올해보다 성장률이 더 큰 폭 떨어지며 침체 국면으로 들어설 수 있단 전망이 나온다. 미국, 유로존 등 선진국 경기는 이미 경기 하강 신호가 감지되고 있으며, 올 하반기 또는 내년 상반기 중으로 평균적인 추세를 하회하는 침체 국면으로의 진입이 예상된다. 신흥국도 선진국 경제의 성장세 위축으로 경기 하강 압력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지난 7월 세계경제성장률이 올해 3.2%에서 내년 2.9%로 하락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 1월 전망치(올해 4.4%, 내년 3.8%)를 불과 6개월 만에 대폭 하향 조정한 것이다.

특히 IMF는 선진국 경제성장률이 2022년 2.5%에서 2023년 1.4%로 큰 폭의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개발도상국을 포함한 신흥국 성장률은 같은 기간 3.6%에서 3.9%로 소폭 반등하겠으나, 회복 정도는 미약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런 가운데 미국과 중국의 갈등 상황은 글로벌 공급망 회복 지연, 우리나라의 대(對)중국 무역 여건 악화 등 악재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반도체, 전기차 등 첨단산업을 둘러싼 패권 경쟁 또한 심화되며 우리나라는 미중 노선에서 양자택일을 강요받는 상황이다.

전세계 경기둔화에 따라 국제유가는 90달러 안팎으로 비교적 하향 안정 흐름을 보이고 있지만,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 상황이 장기화하면서 유럽과의 에너지 전쟁이 본격화하면 겨울부터 다시 오를 수 있단 전망도 나온다.

제닛 옐런 미국 재무부 장관은 11일(현지시간) “올 겨울 유럽연합(EU)이 러시아산 원유 구매를 중단할 것이고, 러시아가 유조선을 통해 원유를 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제공을 금지할 것”이라며 이런 요인들로 인해 원유 가격이 다시 뛸 수 있다고 봤다.

최근 러시아에서 독일로 천연가스를 수송하는 노르드스트림-1의 가동이 10월부터 다시 중단될 것이란 발표에 전체 가스 수입의 약 40%를 러시아에 의존하는 유로존 지역의 에너지 수급 불안이 가시화되는 중이다.

인플레이션 극복을 위한 주요국의 통화긴축 정책도 자본유출 등을 통해 우리나라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특히 미국의 기준금리는 3월 0~0.25% 수준이던 미국 기준금리는 현재 2.25~2.50%까지 가파르게 올랐다. 올해 말 혹은 내년 초 최대 4% 안팎까지 오를 수 있단 전망이다. 이 같은 여파로 최근 원·달러 환율이 1400원을 위협하며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수준으로 급등했다.



현대경제연구원 측은 이 같은 복합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선제적인 위기 대응 능력 강화와 취약 계층에 대한 안전망 확충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정부의 경제정책의 최우선 목표가 ‘물가 안정’에서 ‘경기 침체 방어’로 점차 이동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면서 “물가 안정과 더불어 경기 경착륙 방어를 적극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수출 경기 하강에 대응하여 지역별·업종별 특성에 맞는 차별적인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고 봤다. 미·중 중심의 양분적 글로벌 산업 지형 재편과 본격화되고 있는 기술 패권 전쟁에 대응해 유연한 통상 외교 전략과 핵심·원천 기술 확보 노력이 동반돼야 한다는 조언이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