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8월 기록적 폭우로 반지하 세대에서 사망자가 발생하자 서울시는 ‘반지하주택을 없애겠다’며 매입을 추진해왔지만, 조건이 까다로워 진척이 더뎠다.
반지하와 이주에 필요한 지상부 주택을 포함해 올해 5250호를 사들인다는 계획을 세웠지만 지난달 말 기준으로 매입 계약이 끝난 곳은 98호에 그쳤다.
이에 서울시는 지난 12일 ‘반지하 지상층 이주 지원 및 매입 추진 현황’을 발표하며 “반지하 주택 매입 지침을 완화해 더 많은 물량을 사들일 수 있도록 국토부와 협의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국토부 현행 지침은 서울주택도시공사(SH)가 반지하 주택이 있는 건물의 절반 이상을 살 수 있을 때만 매입하도록 한다.
향후 재건축을 원활하게 하려는 취지지만 다세대주택이나 빌라는 소유주가 여러 명이고 소유 관계가 복잡한 경우가 많아 절반 이상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게 문제가 됐다.
국토부는 반지하가 있는 주택을 매입해 지상층은 공공임대로 쓰고, 지하층은 공공임대 입주자용 커뮤니티 시설로 활용하는 매입 사업의 특성상 동 단위로 매입하는 게 원칙이라는 점을 밝히고 있다.
다만 반지하 매입 활성화를 위해 다세대 등 공동주택은 세대별 매입을 제한적으로 허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원 장관은 “반지하를 전반적으로 없애는 게 원칙이지만, 각각 형편이 다르고 집주인들이 통으로 팔지 않으려는 경우도 많다”며 “생계형 임대인이 워낙 많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재산권 문제가 있고, 반지하 주택에 사는 분들의 의사도 존중해야 하다 보니 계획했던 물량만큼 매입을 못 하고 있지만 서둘러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반지하, 고시원, 쪽방 등 취약 주택 거주자에 대한 공공임대 우선 공급 물량을 올해 1만호로 잡고 있다. 지하층의 경우 지난해 2000호가 이주했는데 올해 3000호 지원이 목표다.
올해 들어 이달 초까지 반지하에 거주하던 1400가구가 지상층 공공임대로 이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