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지상파DMB를 어찌할꼬

김유성 기자I 2012.02.20 09:30:30
[이데일리 김유성 기자] 지상파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 전문사업자인 한국DMB와 U1미디어가 생사의 기로에 섰다.

시청률은 떨어지고 광고물량은 줄어들고 있어서다. 2006년부터 누적된 적자가 같은 기간 올린 총 매출액에 육박한다.
 
존폐위기에 몰린 업체들은 생존방안의 하나로 부분 유료화 카드를 꺼냈다. 현재 운영하는 무료 채널과는 별도로 성인이나 영화채널 같은 유료 채널을 도입해 수익원을 넓혀보겠다는 계산에서다. 광고수입에만 의존해서는 살아갈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단말기 제조회사 및 이동통신사업자와 이해관계가 엇갈려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다.

휴대폰 제조사는 단말기 가격 상승을 이유로 유료화에 반대하고 있다. 유료 결제를 위해서는 지상파DMB 단말기에 결제기능인 수신제한시스템(CAS)을 추가해야 하는데, 이에 따른 비용 부담이 생기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지상파DMB업체들은 CAS 없이 유료 결제를 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았다. `스마트DMB`앱으로 요금을 부과하는 시스템이다. 하드웨어가 아닌 소프트웨어에서 해법을 찾은 만큼 휴대폰의 제조 단가 상승 문제는 사라진다. 
 
그러나 이번에는 이동통신사들의 반대에 부딪혔다. 이통사들은 새로운 수익원으로 육성하고 있는 N스크린 서비스와 정면으로 충돌하는 `스마트DMB`앱을 기본앱으로 장착하는데 난색을 보이고 있다. 무선 인터넷망을 이용하는데 따른 트래픽 과부하 문제도 걸림돌이다.
 
지상파DMB는 LTE시대의 보완재로 쓸모가 있다. 화면이 커지고 선명해진 LTE폰의 보급으로 동영상 서비스에 대한 수요는 늘어난 반면 무제한 요금제 폐지로 `요금폭탄`에 대한 우려는 커진 때문이다.
 
비용부담 없이 영상 콘텐츠를 즐기고 싶은 수백만명의 이용자들은 낮은 해상도를 감수하고 N스크린 대신 DMB를 본다. 

DMB시장의 전체 시청률이 3년만에 반토막이 난 상황에서도 공중파계열 DMB업체들은 흑자기조를 유지하는 배경이다. 방송통신위원회가 지금처럼 "사업자끼리 알아서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손을 놓아서는 안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최시중 전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은 지난해 "종합편성채널이 걸음마를 할때까지는 정부가 보살펴줘야 한다"고 했다가 특혜시비에 휘말렸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동화에 등장하는 계모는 악역이다. 나쁜 계모의 공통점은 전처 소생에 대한 무관심, 친자식에 대한 과도한 애정이다.

지상파DMB는 방통위의 전신인 정보통신부가 낳은 자식이다. 방통위가 지상파DMB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종편만 챙기는 나쁜 계모"라는 욕을 덜 먹지 않을까.

▶ 관련기사 ◀
☞SKT, 크루즈선 로밍 서비스 개시
☞[졸업·입학]SK텔레콤 "스마트폰 사면 선물 팡팡"
☞SK텔레콤, 속도 높인 와이파이 기술 개발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