꼼데가르송이 시작해 구찌가 방점 찍었다

경계영 기자I 2024.10.23 05:35:01

[신흥 패션성지 '한남']②힙스터 몰리고 다양한 문화 니즈 충족
1~9월 한남동 방문 외국인 전년비 174%↑
패션 관련 소비도 늘어…예술·문화 중심지→패션·뷰티 중심지로 영역 확장

[이데일리 경계영 기자] 최근 방문한 서울 용산구 한남동에 있는 마리떼 프랑소와 저버 매장. 2030 여성으로 북적인 매장에선 우리말 외에도 중국어, 영어 등이 많이 들렸다. 매장 한쪽엔 일부 외국인 관광객이 쇼핑한 물건을 담기 위해 가져온 캐리어가 줄지어 있었다. 마리떼 프랑소와 저버 관계자는 “매출액 중 외국인 비중이 70%에 달해 명동을 제외하면 일반 상권에서의 외국인 비중(10%)보다 월등히 높다”고 했다.

르메르 플래그십 스토어는 한남동에서도 한적한 골목에 있지만 내부는 사람들로 가득했다. 주택을 개조한 독특한 디자인이다 보니 매장 내 정원에서 사진 찍는 방문객도 눈에 띄었다. 르메르의 국내 사업을 담당하는 삼성물산(028260)에 따르면 르메르 플래그십 스토어는 올해 1~9월 누적 매출액이 전년동기대비 70% 증가했다.

(그래픽=문승용 기자)
패션 브랜드가 한남동으로 모이면서 새로운 패션 성지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22일 서울시 상권분석서비스에 따르면 지난 2분기 말 한남동 일반의류 소매 점포는 249곳으로 전년동기대비 16곳(6.9%) 증가했다. 성수동 주요 상권인 성수2가 3동(23곳 증가)에 이어 서울에서 두 번째로 많은 규모다.

지난 4일 서울 한남동에 마르디 메르크디 4개 플래그십 스토어가 몰려있는 ‘마르디존’이 붐비고 있다. (사진=경계영 기자)
◇“힙스터가 찾는 곳…글로벌 브랜드도 원하는 1순위 상권”

한남동을 패션 상권으로 탈바꿈시킨 곳은 삼성물산이다. 지난 2010년 꼼데가르송을 필두로 구호, 띠어리, 비이커 등 삼성물산이 전개하는 디자이너·신명품 브랜드가 한남동에 매장을 꾸리며 ‘꼼데가르송길’이 만들어졌다. 리움미술관과 블루스퀘어, 현대카드 아트 라이브러리 등 문화 콘텐츠는 즐길 거리를 제공하며 한남동만의 매력을 더했다.

패션 상권으로서의 위상을 굳힌 계기는 명품 브랜드인 구찌가 2021년 문을 연 ‘구찌 가옥’이었다. 구찌가 들어올 만큼 한남동 상권이 소비력을 갖췄고 이미지도 고급스럽다는 보증을 하면서다. 고급 주택단지인 나인원 한남도 2019년 입주한 이후 골목마다 식음료(F&B) 매장이 들어서며 유동인구가 늘어났다.

해외에 나갈 수 없던 코로나 시기에 문화 콘텐츠까지 갖춘 한남동을 MZ세대가 찾자 이들을 정조준하는 컨템포러리·대중(mass) 브랜드 역시 한남동으로 모였다.

K패션을 대표하는 소위 ‘3마’(마뗑킴·마리떼 프랑소와 저버·마르디 메르크디) 중 마리떼 프랑소와 저버와 마르디 메르크디가 한남동에 플래그십 스토어를 냈다. 디젤, 헌터, 포터리, 수프라, 나일로라, 이미스, 젤라또피케, 새터 등도 한남동에 플래그십 스토어를 열었다.

상권 분석을 담당하는 박태준 삼성물산 패션부문 유통혁신팀 그룹장은 “한남동은 힙스터(멋있고 개성있는 사람)가 방문한다는 이미지와 함께 다양한 문화를 경험하려는 젊은 층이 주요 고객”이라며 “젊고 유행에 민감한 고객이 수년간 분위기를 이끌면서 신명품뿐만 아니라 유명 글로벌 브랜드가 들어가고 싶어하는 1순위 상권이 됐다”고 설명했다.

실제 꼼데가르송길에 플래그십 스토어를 준비하는 MLB의 관계자는 “MLB가 고객에게 힙하고 스트리트한 브랜드라는 점을 각인시키기 위해 MZ세대가 즐겨찾는 한남동에 플래그십 스토어를 마련했다”고 전했다.

여기에 늘어나는 외국인 관광객은 한남동을 패션 성지로서의 입지를 굳히는 데 한몫했다.

한국관광 데이터랩에 따르면 KT(030200) 이동통신 데이터로 추정한 올해 1~9월 한남동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은 38만 6477명으로 전년동기대비 174.0% 증가했다. 이는 같은 기간 서울시 전체를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 증가율(118.1%)보다 높은 수준이다.

한남동에 플래그십 스토어를 포함해 매장 2곳을 운영하는 마리떼 프랑소와 저버는 9·10월 한남동 매장에서의 외국인 관광객 국적 비중이 중국과 대만·홍콩이 각각 40%, 30%로 가장 많았고 동남아와 일본을 포함한 기타 국가가 각 15%씩을 차지했다고 전했다.

지난 4일 서울 한남동에 있는 ept 매장에 들어가려는 줄이 늘어서있다. (사진=경계영 기자)
◇5년 새 패션업종 카드 이용액 67% ‘껑충’

한남동이 패션 상권으로 성숙했다는 점은 실제 소비데이터로 확인된다.

KB국민카드 데이터사업그룹에 따르면 올해 1~9월 한남동의 패션업종(의류·잡화) 이용금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 늘었다. 커피·음료를 제외한 뷰티·주점·음식점 이용금액이 10% 안팎의 감소세를 나타낸 것과 대조적이다. 이용건수 기준으로는 같은 기간 9% 늘었다.

최근 5개년을 봐도 패션부문의 카드 사용액이 가파르게 성장했다. 2019년 월평균 이용금액 100을 기준으로 한남동 내 패션업종 이용금액은 2021년 133→2022년 151→2023년 156→2024년 167로 가장 많이 늘어났다. 이용건수 기준으로도 패션 업종의 월평균 소비지수가 올해 173으로 커피·음료 업종의 월평균 소비지수 120보다도 두드러진 상승세를 나타냈다. 올해 1~9월 한남동에서 주요 업종의 연령대별 1명당 결제액을 보면 패션업종이 평균 14만 2800원으로 유일하게 10만원을 넘겼다.

업계 관계자는 “한남동은 미술관, 공연장 등이 있는 예술·문화 중심지에서 패션·뷰티 쇼핑 중심지로도 그 기능이 확대되고 있다”며 “외국인 관광객까지 한남동을 많이 찾으면서 명품·컨템포러리 등 ‘힙’한 브랜드 입점도 늘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4일 서울 한남동 르메르 플래그십 스토어 앞에서 한 커플이 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경계영 기자)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