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일 서울교통공사 노동조합에 따르면 노조는 오는 17일부터 20일까지 서울을 포함해 부산·대구·대전·인천·광주 등 6개 지방자치단체 지하철 노조와 합동으로 총파업 찬반 투표를 진행한다. 나흘간 조합원의 직접·비밀·무기명 투표를 거쳐 과반수의 찬성을 얻으면 총파업에 돌입한다.
서울 지하철 노조는 6개 지역에서 모두 파업 찬성이 나오지 않더라도 서울에서 가결될 경우 파업을 강행한다는 방침이다.
총파업 예고는 사측이 직원 1539명을 감축하는 방안을 제시하면서다. 공사는 코로나19로 장기화로 승객 수가 급감하면서 지난해 1조1137억원의 당기순손실을 냈다. 올해는 적자가 1조6000억원으로 불어날 위기에 처해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지난 5월 취임 한 달을 맞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경영합리화를 통해 해결할 부분이 분명히 있다”면서 “교통요금 인상을 고려할 시점이 아니다”고 못박은 바 있다.
이에 공사는 자구책의 일환으로 전체 직원 1만6792명의 9.2%에 해당하는 인력을 감축하고, 일부 업무의 외부 위탁, 심야 연장 운행 폐지 등을 추진하고 있다.
반면 노조 측은 적자의 근본 원인이 6년째 동결된 지하철 요금과 노인 등 무임수송에 따른 손실, 지하철 환승 할인 등이라며 중앙정부와 서울시의 추가 재정 지원을 요구하고 있다. 또 인력감축이 안전사고로 이어져 ‘제2의 구의역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노사 양측 입장이 평행선을 달리고 있는 가운데 내부에서도 찬반 의견이 분분한 것으로 알려졌다. 코로나19 4차 대유행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집단행동에 나설 경우 자칫 여론의 따가운 질타를 받을 수 있다는 점이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어서다. 한 공사 직원은 “주변 동료들 사이에서 코로나19 확산세가 계속되고 상황에서 파업강행은 실익이 없다는 의견이 주를 이룬다”면서 “투표함을 까봐야 파업 여부를 알 수 있지 않겠냐”고 말했다.
앞서 공사 노조는 지난해 1월 예고일 새벽에 극적으로 파업을 철회한 바 있다. 설 명절 기간 시민 불편, 불법파업에 휘말릴 승무 직원들의 피해 등을 고려한 조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