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경영은 일종의 자가진단..위험·기회 찾아내 대비하는 것"

이정훈 기자I 2021.02.09 06:00:00

<기·승·전 ESG…왜>
이준희 법무법인 지평 ESG센터 전략그룹장 인터뷰
"ESG 경영 새로운 부담 아냐…자가진단 잘하면 돼"
"환경 영향 큰 제조업체 이어 IT·플랫폼업체 주도"
"평가 목적의 ESG 경영, 시장서 도태되는 지름길"

[이데일리 이정훈 기자]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라고 해서 새로운 무언가를 요구하는 건 아닙니다. 환경과 사회, 지배구조 세 가지 관점에서 기업이 가지는 위험과 기회요인을 찾아내고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내재화하는 것입니다. 이를 제대로 활용하는 기업만이 앞으로 재편되는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 겁니다.”

법무법인 지평 ESG센터에서 기업들을 상대로 ESG 경영을 위한 전략을 컨설팅해 주는 역할을 맡고 있는 이준희(사진) 전략그룹장은 8일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ESG 경영을 이 같이 정의했다. 이를 위해 일종의 건강검진처럼 기업이 자가 진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내재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자가 진단을 통해 리스크 관점에서 경영하는 한편 이를 토대로 새로운 영역으로의 진출이나 신시장을 만들어 내는 것이 ESG 경영”이라며 “이를 제대로 활용해야만 새로 재편되는 시장에서 살아 남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그룹장은 ESG 경영을 확립하기 위해 거버넌스(의사결정 체계)를 정립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는 “작게는 사내 이사회와 각종 위원회 등 의사결정 체계를 바로 하고, 크게는 조직 간의 소통과 투명한 경영 프로세스, 이해관계자 관점에서의 의사결정 체계를 고도화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 기업들 가운데서는 환경과 관련된 비즈니스를 하는 제조업을 중심으로 IT 및 플랫폼 기업들, 금융회사들이 가장 발빠르게 준비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그룹장은 “제조업체들, 그 중에서도 환경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산업군에 속한 기업들이 가장 적극적이며 삼성과 SK는 물론 LG도 그룹 차원에서 ESG 경영에 속도를 내고 있다”면서 “또 네이버와 카카오 등 IT와 ICT, 플랫폼 비즈니스 등에서는 또 다른 사회적 책임과 지속가능 경영을 진단하고 이를 관리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며 금융 역시 KB금융지주와 신한금융지주를 필두로 농협과 우리금융 등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투자 사이드에서도 ESG 경영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 그룹장은 “기업들의 ESG 경영과 기술 투자, 에너지 전환과 탄소 저감, ESG 정보관리 및 공시 강화 등으로 자본시장 내에서 ESG 대출과 금융, 투자 등을 내재화 하려는 움직임이 가속화하고 있다”며 “특히 올해에는 벤처캐피털(VC)과 사모펀드(PE)들을 중심으로 ESG 통합 보고서, 자산운용에서의 재무와 비재무 관리, 내부 투자 의사결정에서의 ESG 요소 내재화 등과 같은 변화와 고민을 실천하는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다”고 전했다.

다만 그는 우후죽순 격으로 생겨나는 ESG 평가가 ESG 경영의 본질을 호도해선 안된다는 점을 경계했다. 이 그룹장은 “아직까지 ESG 평가에 대해 정확한 기준이 없는 상황에서 좋은 평가를 받는 것만을 목적으로 하는 ESG 경영은 자연스럽게 시장에서 도태되는 지름길이 될 것”이라며 “기업들이 왜 ESG를 정비해야 하는 지를 명확히 답할 수 있어야만 이를 통해 리스크를 관리하고 환경과 사회적 가치를 함께 창출하는 신시장 전략과도 연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