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창용 한은 총재 후보자가 1일 취재진과 만나 가계부채 증가세를 경계하는 발언을 한 것이 채권 가격 폭락(금리 급등)으로 이어졌다. 가계부채에 대한 한은의 접근 수위가 강화될 경우 기준금리 전망 역시 상향 조정될 것이란 평가가 나왔다.
|
한은이 작년 8월과 11월에 기준금리를 주요국보다 먼저 올릴 때에는 물가 폭등보다는 ‘빚투(빚을 내 투자)’로 인한 가계부채 폭증, 부동산 가격 폭등을 경계하는 분위기가 강했다. 이후 세 차례에 걸친 금리 인상과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규제 강화로 인해 가계부채 증가율이 둔화됐고 부동산 가격도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이 후보자의 발언은 종전 금융안정을 목적으로 한 기준금리 인상에 비해 수위가 높다는 게 공 이코노미스트의 평가다.
공 이코노미스트는 “(이 후보자의 발언은) 현재 가계부채가 늘어나는 속도는 정점을 지났으나 여전히 절대적인 속도가 빠르다는 평가로 볼 수 있다”며 “향후 부채의 절대적 규모 혹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비중을 낮추는 수준까지도 염두에 둔 발언이란 점에서 종전보다 한층 더 높아진 가계부채 문제에 대한 대응 수위를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동안 가계부채는 한국 경제가 지닌 매우 큰 현안이나 상당한 기간에 걸쳐 누적된 구조적 문제로 인식됨에 따라 절대적인 부채 규모 축소 등 디레버리징보다는 증가 속도를 감속하는 대응들이 선호됐는데 이에 반해 이 후보자의 발언은 기존 수준을 상회하는 가계부채 문제에 대한 접근 시사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공 이코노미스트는 “현재 한국 채권시장은 작년 빠르게 이뤄진 금리 인상으로 향후 추가로 금리가 인상되더라도 그 폭은 제한적일 것이란 기대가 크다. 특히 최종 기준금리 수준에 대한 컨센서스는 올해말 1.75~2.00%로 평가되는데 그 기저에는 가계부채 문제에 대한 통화당국 대응이 이미 치열한 쟁점을 지났다는 평가가 자리하고 있다”며 “(그러나 한은의) 가계부채 접근에 대한 수위가 달라질 경우 기준금리 전망이나 채권시장이 프라이싱 역시 달라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