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월별 순발행액을 살펴보면 5월(9595억원), 8월(3조7794억원)을 제외하고는 상환 규모가 발행 규모보다 많았다.
주택담보대출 물량 증가와 더불어 지난해 말 고금리로 조달했던 수신 만기가 도래하는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은행들의 자금 수요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특히 지난해 레고랜드 사태로 은행들이 채권 시장을 통한 자금 조달이 어려워지자 고금리 특판 예금을 앞세워 유동성을 확보한 바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레고랜드 사태 발생한 지난해 9월부터 올해 2월까지 은행권을 통한 수신 잔액은 111조4612억원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통상 은행 예·적금 만기가 1년임을 감안했을 때 올해 10월부터 100조원이 넘는 현금을 고객에게 상환해줘야 함을 의미한다.
또 지난 21일 금융당국과 시중은행은 은행권의 안정적 자금 확보를 위해 은행채 발행한도 규제를 완화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오는 4분기부터 은행채 발행한도는 현행 분기별 만기도래액의 125%에서 발행한도를 폐지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통상 은행채 물량이 늘어나면 채권시장 시중 자금을 흡수해 회사채 수급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은행채는 신용등급 AAA급 초우량 채권이기 때문이다. 은행채 물량이 늘어나면 상대적으로 신용등급이 낮은 회사채 발행 금리가 올라가 기업에 부담으로 작용한다.
채권 금리는 가격과 반대로 움직이는데, 은행채 공급이 늘어나면 가격은 떨어지고 금리는 올라가게 된다. 본드웹에 따르면 이날 기준 은행채 5년물 금리는 4.521%까지 올랐다. 지난 3월 이후 5개월여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회사채도 덩달아 금리를 올리는 상황이 된 셈이다.
다만, 지난해 말처럼 채권시장 경색으로 유동성 위기로 확산되지는 않을 것이란 의견도 나온다. 은행이 자체적으로 수신 관리에 나서며, 차환 목적의 발행이 많아 10월을 전후로 발행 물량이 안정될 것이란 설명이다.
이경록 신영증권 연구원은 “은행권 전반으로 고금리 정기예금 만기에 대해 소폭의 예금금리 인상 수준에서 수신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면서 “예금 외에 은행채나 양도성예금증서(CD) 등을 활용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지난해와 같이 서민금융기관의 수신환경을 크게 악화시킬 가능성은 낮다”고 설명했다.
한 증권사의 채권 운용역은 “차환을 목적으로 한 은행채 발행은 10월 이후 점점 그 규모가 축소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