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어 헝다 사태, 전력난과 함께 미중 무역갈등도 중국 불확실성 리스크를 더욱 확산시키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 4일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미국 무역대표부 대표가 밝힌 대중 무역정책의 기본 구상을 보면 이전 정부의 틀을 유지, 강경 기조를 이어갔다.
박 연구원은 “미 무역대표부 대표가 언급한 대중 메시지를 보면 미국은 대중 강경 기조를 완화할 계획이 없고 1차 무역합의 이행 여부와 상관없이 추가적 협상을 추진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한 것”으로 해석했다.
이어 “특히 대중 문제에 있어 동맹국과 경제 및 안보분야 협력을 더욱 강화해 중국 압박을 가할 것임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면서 “이러한 미국, 즉 바이든 행정부 입장을 고려할 때 중국도 대미 관계에 있어 더욱더 강경 노선을 추구할 여지가 높아졌다”고 덧붙였다.
특히 이번 무역대표부 대표 발언으로 중국 측이 연말까지 남은 기간 합의 이행에 적극적으로 나설 가능성이 낮아졌다. 피터슨국제연구소 분석에 따르면 1~8월 중국의 미국산 제품 수입 규모를 기준으로 할 때 1차 무역합의 이행률이 69% 수준에 그치고 있다.
박 연구원은 “1차 무역합의의 골자는 2020~2021년 2년에 걸쳐 중국이 미국산 제품과 서비스를 2017년 대비 2000억 달러 추가 구매하는 것”이라면서 “이로 인해 연말 1차 무역합의 불이행으로 미중 갈등이 더욱 증폭될 여지가 높아졌다”고 봤다.